김창렬 "긍정, 웃음, 따뜻함은 전염된다"

김현록 기자 / 입력 : 2011.08.31 15:00
  • 글자크기조절
image
김창렬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온오프 미디어 스타뉴스와 인터넷 언론 TV리포트, 한경닷컴, 그리고 한국편집기자협회, 한국아나운서연합회는 공동으로 자살방지 캠페인 '함께 사는 아름다운 한국'을 벌이고 있습니다.

우리 국민을 자살로부터 멀어지게 하고 희망과 사랑이 넘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펼치고 있는 이 캠페인은 미스코리아 모임 녹원회가 홍보대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효리 하지원 주상욱 박재범 박경림 임창정 이정진 등 유명 스타들과 민경욱 KBS 1TV '9뉴스' 앵커가 이미 동참했습니다. 이번에는 DJ DOC의 옛 악동이자 '노력하는 아빠' 김창렬을 만났습니다.【편집자주】


-우리나라가 전 세계 자살률 1위다.

▶충격적인 결과다. 불명예스러운 1등이기도 하고. 충격도 충격이거니와 우리나라가 살기가 너무 팍팍한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 요즘이 참 어려운 시기구나 하는 생각도 들고 여러 생각이 든다.

-사실 연예계에서도 자살 사건이 이어진다. 주위에서도 그런 사건이 있었나.


▶연예계에도 자살이 이어졌고, 사실 동창 중에도 그런 친구가 있었다. 너무나 안타까웠다.

밝았던 친구들인데도 그런 상황이 벌어지니까, 아무리 사람 일은 모르는 거라고 하지만 세상 일이 사람을 그렇게 바꿀 수도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 안타까웠다. 좀 더 좋은 세상일 수 있고 더 좋은 세상을 느낄 수 있었을텐데 왜 일이 그렇게 됐을까 싶기도 하고.

사실 같은 일이라도 안 좋은 쪽으로 보고 안 좋은 쪽으로 생각하면 계속 그렇게 된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꼴보기 싫다' 생각하면 단점만 보인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내가 왜 쟤를 미워하고 있지?' 하게 되더라. 다르게 보기 시작하니 사람이 또한 좋은 사람을 보이더라. 이걸 세상에 빗대 이야기다면 이 세상이 너무 싫다 안좋다 하다가도 장점을 찾아볼까 하면 하나씩 보인다. 그 다음부터는 전혀 다른 세상이 된다.

-김창렬이 밝고 건강한 생활을 이어가는 법이 있다면?

▶안 좋은 일이 있다면 나는? 그냥 표현한다. 표현하는 게 정신 건강에도 좋고 화도 풀리기 마련이다. 사실 나는 복받은 사람이다. 라디오도 하고 일도 하고 그런 걸 풀 수 있는 공간이나 시간이 많다. 라디오를 하면서 신나기 소리 지르고 이야기하고 하다보면 나도 모르게 기분이 풀리고 더 좋아진다. 그런 걸 꾹 참고 가지고 있으면 스트레스가 스트레스를 낳고, 걱정이 걱정을 낳게 된다. 누군가를 찾아가 시원하게 털어버리고 고민도 날려보낸다고 생각하면 마음이 좀 더 가벼워진다.

직장에서 일하시거나 혹은 직장이 없으시거나, 혼자 계셔야 하는 분들이라면 그런 시간이 부족하실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사실 그럴 때 주위의 도움이 중요하다. 주면에서 못 알아보고 그냥 놔두면 어려움이 더 커질 수가 있기 때문이다. 어려움이 있는 사람이 있을수록 주변에서 더 들어주고 말을 들어주고 해야 한다.

-트위터를 통해서 밝은 생각을 전하는 일에도 적극적이다.

▶얼마 전 트위터에다가도 그렇게 올렸다. '따뜻한 말 한 마디 해주기, 위로의 말 해주기'. 사실 그게 중요하다. 좋지 않은 선택을 고민하는 분들에게 따뜻한 말 한마디, 위로가 분명 큰 힘이 될 거다. 주변에서 자신을 생각하고 있고, 그만큼 자신이 중요한 사람이라는 걸 다시 깨닫게 된다면 좀 다르게 상황을 생각하게도 되실 거다.

-하나하나 트위터 멘션에 답하면서 좋은 이야기를 전한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

▶물론 그렇다. 하나하나 다 받으려다보면 귀찮아질 수도 있을 거다. 하지만 저는 그렇게 생각한다. 한 사람이 쳐져 있다면 주위 열 사람이 쳐진다. 그럼 또 금방 100명이 쳐진다. 굳이 자살 같은 극단적인 예를 들지 않더라도 그런 우울함, 걱정은 어느 정도 전염이라고 생각한다.

나 역시 기분이 안 좋거나 할 때가 있지만 그렇다고 라디오 디제이까지 하는 내가 그 마음을 그대로 드러내면 수만명이 그 기분에 전염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건 예외의 경우고, 어떤 개인이라도 조그마한 변화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밝은 사람을 보면서 더 즐거워하고, 어두운 사람에게 그 밝음을 전해주는 거다.

거꾸로 보면 긍정, 웃음도 전염된다. 어려움이 있고 고민이 있다면 긍정적이고 밝은 사람이 그걸 풀어줄 수 있고, 해결이 되지 않더라도 도움은 될 수 있다. 밝은 사람이 점점 많아지고, 남의 고민을 들어줄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진다면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조금 더 기분 좋은 세상이 되지 않겠나. 또 더불어 살아갈 만하고.

-혹시 자살같은 극단적인 선택을 고민한 적도 있었나.

▶사실 자살까지 생각해 본 적은 없다. 하지만 자살까지는 아니더라도 극단적인 고민을 한 적은 있었다. 여러가지 어려움이 한꺼번에 닥치면서 '삶을 포기해버릴까?' '에라 모르겠다' 했을 때는 있었다.

-그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었나.

▶주변 사람들이 잡아줬다. 그 때는 DJ DOC (정)재영이와 (이)하늘이었다. 부모님께서 다 돌아가시고 제가 혼자 남은 것 같았을 때다. 하늘이 형이랑 재영이가 그런 나를 잡아줬다. 하늘이 형이 아빠가 돼 주고 재영이가 엄마가 돼 준 거였다. 지금 생각해보니 정말 그랬다.

꼭 자살을 생각하는 게 아니더라도 누구나 한번쯤 그런 힘들었던 경험, 모든 걸 놓아버리고 싶었던 경험은 있었을 거라고 생각한다. 중요한 건 그걸 계기로 어떤 생각을 했으며, 어떻게 극복했느냐 하는 거다.

깨닫고 다른 사람에게 '그렇게 하지 말아요' 하고 이야기할 수 있는 건 그와 같은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거기까지 닿는 것이 물론 쉽지 않지만 스스로 그런 사람이 되는 순간 스스로 굉장한 행복이 다가온다. 경험이 있으니까 다른 사람들에게 이야기했을 때 더 잘 받아들여지고 또 더 이해받을 수 있다. 나 또한 더 이해할 수 있고. 내 방법이 정담은 아닐 거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어떤 방법으로라도 어려움을 이겨낸다면 그 사람이 또 다른 한 사람을 구제할 수 있고, 그런 도움과 희망은 계속해서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뜻함도 전염되는 거니까.

-에너지가 물씬 느껴진다.

▶늘 바쁘다. 더 힘을 내야한다. 이번 주말에는 새로 막창집을 오픈해서 더 바쁘다. 내가 만든 회사에서 신인들이 열심이 연습하고 있고, 곧 첫번째 팀이 나올 예정이다. (웃음)

최신뉴스

더보기

베스트클릭

더보기
starpoll 배너 google play app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