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달빛프린스'가 남긴 깨알 역사

김성희 기자 / 입력 : 2013.03.12 11:49
  • 글자크기조절
image
<사진=KBS>


'달빛, 달빛, 달빛프린스~'

KBS 2TV '달빛프린스'가 12일 방송을 끝으로 콘셉트를 비롯해 대대적인 개혁에 나선다. 지난 1월22일 북토크라는 참신함으로 기대 속에 등장했지만, 매주 3~4%(닐슨코리아, 전국일일기준)아쉬운 성적표를 받아야 했다.


8회 동안 출연게스트 18명, 동화책부터 성장소설까지 소개 된 책 8권 소소한 웃음으로 화요일 심야시간 시청자들에게 짧지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달빛프린스'가 남긴 것들을 돌아보자.

◆ 5인5색 프린스의 애칭들

'달빛프린스'는 MC 강호동을 필두로 탁재훈, 정재형, 용감한형제, 최강창민까지 전혀 공통점이 보이지 않는 5명의 프린스가 등장했다. 각자 탁달프, 정달프, 용달프(혹은 용달), 민달프라는 이름이 부여됐다.


'돼지피터팬' : 강호동을 이르는 말이다. 강호동은 첫 회 이서진편에서 피터팬을 연상케 하는 요정의상으로 모두를 비주얼 쇼크에 이르게 했다. 시청자 앞에 새롭게 서고 싶은 강호동의 의지와 프로그램 콘셉트를 잘 느낄 수 있었지만 시청자들에게는 어색했다.

'스핑크스 탁' : 2회 김수로 편에서 탁재훈이 스핑크스로 변신했던 부분이다. 탁재훈은 제작발표회 당시 언급했던 방해특수요원을 충실히 소화해냈고 직접 스핑크스 모자를 썼다. 그가 특유의 웃음을 지으며 "재미를 위해"라고 할 때마다 웃음을 선사했다. 매회 달라지는 콘셉트로 인해 '스핑크스 탁'도 '돼지피터팬'과 함께 프로그램 중반 사라져야 했다.

'용달' : 강호동이 용감한형제의 용달프를 잘못 불러 탄생한 애칭이다. 그런데 시청자들은 이상하게도 용달프보다 용달에 더 친근함을 느껴야 했다. 용감한 형제는 프로그램 시작 전 나오는 배경음을 작곡하기도 했다.

'19금돌' : 동방신기의 영원한 막내 최강창민이 억눌러왔던 예능감을 폭발시켰다. 고정 예능프로그램 MC가 처음이다 보니 꾸밈없는 솔직함으로 임했다. 혈기왕성한 20대답게 매번 '19금'발언으로 의외의 모습을 보였다. 중학교 때 야동을 몰래 본 일화, 볼륨 있는 여자가 좋다고 할 때 몸소 손동작으로 웨이브를 그린 동작 등은 최강창민의 재발견이었다.

'음악요정' : 정재형은 '달빛프린스'에서 엉뚱한 매력을 보였다. 형이지만 형 같지 않은 연약함은 나머지 프린스들과 대비돼 캐릭터를 형성했다. 그의 진가는 5회 때 드러났다. 용감한형제와 짝을 이뤄 '샬롯의 거미줄'을 과외 교습 할 때, 시청자의 퀴즈를 도입했을 때 당당하게 오답을 말하는 모습은 엉뚱함이 잘 드러났다.

◆ 깨알 게스트들

게스트들 역시 배우, 가수, 전직 운동선수 까지 각 분야를 넘나드는 이들이 나왔다. 1회 이서진, 2회 김수로, 3회 이보영 4회 우지원, 문희준, 하하, 정용화, 5회 이재룡, 이훈, 6회 유인나, 한선화, 7회 이영자, 김완선, 김숙, 권진영, 8회 창민, 진운이었다.

매 회 각 게스트들은 주특기를 살려 개성을 돋보이게 했지만 그 중에서도 인상 깊은 이들이 있었다.

'미대형' 이서진은 갈피를 전혀 못 잡던 1회를 그의 토크로 살려냈으며 2회 김수로는 명불허전 예능감을 드러냈다. 3회 이보영은 국문학 전공자답게 책과 토크를 적절히 섞어냈다. '서영이'라는 틀 안에서 이보영을 바라봤다면 '꾸베씨의 행복여행' 편을 통해 여배우의 삶을 볼 수 있었다.

4회에서는 만화책을 소재로 했다. 보통 만화책은 책과 또 다른 영역으로 보지만 '슬램덩크' 편을 통해 과거를 추억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여기에 실제 농구선수 우지원, 문희준, 하하, 정용화의 등장은 더욱 책이 주고자 했던 메시지를 잘 전달했고, 남성 시청자들의 폭풍 공감을 이끌어냈다.

7회는 언니들의 반란이었다. 연예계 대표 골드미스 4인방이 모여 프로그램을 휘어잡았다. 이영자는 왕언니답게 프로그램을 이끌어 갔고 아옹다옹 하는 모습은 콩트

같기도 했다.

최신뉴스

더보기

베스트클릭

더보기
starpoll 배너 google play app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