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류현진이 21일(한국시간) 신시티내와 경기에서 공을 던지고 있다. /AFPBBNews=뉴스1 |
![]() |
신시내티 투수 헌터 그린이 21일(한국시간) 토론토전에서 투구하고 있다. /AFPBBNews=뉴스1 |
류현진 5이닝 4피안타 2실점(비자책) 승리
신시내티 선발 헌터 그린(24)은 시속 98~100마일(약 158~161㎞)의 강속구를 던지는 투수다. 그러나 볼만 빠르면 뭣하는가. 계속 높게만 들어오니 홈런을 5방이나 얻어 맞았다.
반대로 류현진(36·토론토)의 투구를 보라. 최고 구속은 90마일(약 145㎞) 정도이지만, 정교한 코너워크로 타자들을 요리했다. 부상에서 복귀한 후 4차례 등판 가운데 가장 완벽한 피칭을 펼쳤다.
강약 조절도 일품이었다. 2회 조이 보토와 3회 엘리 데 라 크루스에게 헛스윙 삼진을 잡은 공은 66마일(약 106㎞)짜리 커브였다. 그냥 놔두면 볼이 될 수 있었으나 스트라이크존을 지나면서 떨어지는 느낌을 줘 타자가 속을 수밖에 없었다.
![]() |
신시내티를 상대로 투구하는 류현진. /AFPBBNews=뉴스1 |
상대팀으로선 류현진 하면 체인지업이나 커브, 커터 등을 대비하고 나설 것이다. 그럴 때 예상과는 다르게 빠른 볼이 들어오면 타자로선 허를 찔리고 헷갈릴 수밖에 없다. 그것도 타자 몸쪽으로 낮게 파고드는 공이어서, 필자가 TV로 봤을 때도 구속에 비해 훨씬 빠르다는 느낌을 받았다.
![]() |
류현진의 신시내티전 투구 모습. /AFPBBNews=뉴스1 |
![]() |
류현진이 21일(한국시간) 신시내티전에서 공을 던지고 있다. /AFPBBNews=뉴스1 |
경기 후 승리 전화를 걸어온 류현진에게 "훌륭한 투구였다"고 칭찬을 건넸다. 류현진은 "뭘요…"라고 답했다. 늘 그렇듯 겸손한 모습이었다.
/김인식 KBO 총재 어드바이저·전 국가대표팀 감독
![]() |
김인식 전 감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