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축구대표팀 주장 손흥민. /사진=뉴시스 |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대표팀은 20일 오후 8시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B조 7차전 홈 경기에서 오만과 1-1로 비겼다.
한국은 4승3무(승점 15)로 조 선두를 유지했다. 하지만 홈에서 한 수 아래인 오만을 상대로 승점 1을 얻는 데 그쳤다. 이 경기와 25일 요르단전을 모두 승리하면 월드컵 본선 진출을 조기 확정할 수 있었지만 경기 후반 동점골을 허용하며 아쉬움을 삼켰다.
한국은 전반 내내 높은 볼 점유율을 쥐었지만 오만의 촘촘한 파이브백과 중원의 거친 압박으로 별다른 기회를 얻지 못했다. 교체 투입된 이강인의 환상적인 전진 패스와 황희찬의 마무리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마지막 10분을 못 버텼다. 후반 35분 이강인이 오만 선수의 발에 걸려 쓰러져 있는 사이 동점골을 허용했고 경기는 무승부로 끝났다.
반면 일본은 이날 바레인을 꺾고 전 세계에서 개최국(미국·캐나다·멕시코)를 제외하고 가장 빨리 월드컵 본선에 진출 티켓을 따냈다.
![]() |
아깅인(가운데)이 지난 20일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B조 7차전 도중 쓰러져 고통스러워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해당 기사 댓글에서 일본 누리꾼들은 한국이 더 이상 일본의 상대가 되지 않는다고 단언했다.
한 누리꾼은 '아시아에서 일본과 이란이 가장 강력한 국가다. 3위 자리를 놓고 한국과 호주, 우즈베키스탄, 이라크가 다툴 뿐이다'라고 전했다.
또 다른 누리꾼은 '한국을 일본과 비교할 필요가 없다. 일본은 아시아팀 중 세계적 수준으로 향하는 유일한 팀이다. 일본을 이길 수 있는 팀은 유럽을 제외하면 남미와 아프리카 강팀뿐이다. 한국도 아시아 팀인데 왜 우리처럼 못 하는가'라고 전했다.
이외에 '한국은 자신들이 아시아 최고 수준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J리그가 생기고 30년이 지난 지금 일본과 한국의 위치는 완전히 바뀌었다. 이젠 우리 라이벌이 아니다'고 적었다.
또 '한국은 오로지 일본을 앞서려고만 한다. 하지만 일본은 세계를 앞서려고 한다. 어느 쪽이 더 목적의식이 강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 |
일본 축구대표팀 주장 엔도 와타루(오른쪽). /AFPBBNews=뉴스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