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동산이 서울불패를 여전히 증명하고 있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5월 첫째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8% 상승했다. 서울이 0.39% 올라 수도권(0.22%) 시세 상승을 주도했다. 그런데 경기ㆍ인천 지역은 0.01% 변동률로 강보합 수준에 그쳤다. 5대광역시는 0.03%, 기타지방은 0.10%를 기록하며 서울과 세종 외에는 전반적으로 움직임이 약했다.
전국 17개 시도 중 상승 15곳, 보합 1곳, 하락 1곳으로 상승 지역이 우세했다. 개별 지역으로는 세종(0.46%) 서울(0.39%) 에서의 의미 있는 주간 상승폭을 기록했다. 경북은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0.04% 떨어졌다. 한편, 지난 4월 월간 기준 전국 변동률은 0.45%를 기록해 3월(0.33%) 대비 상승폭이 더 커졌다. 리딩 지역인 서울이 2개월 연속 월간 1% 이상 오르며 다른 지역들과 차별화된 움직임을 나타냈다.
매매와 달리 아파트 전세가격은 0.32% 떨어졌다. 서울 -0.32%, 수도권 -0.34%, 경기ㆍ인천 -0.36%, 5대광역시 -0.24%, 기타지방 -0.27% 등 주요 권역 모두 하락세가 짙었다. 전국 17개 시도 중 16곳이 떨어졌다. 하락폭이 큰 지역은 인천(-0.47%) 대전(-0.45%) 강원(-0.45%) 제주(-0.45%) 순이었다. 반면 월간 기준 4월 전국 전세가격 변동률이 0.22%를 기록해 3월에 이어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4월 4일 탄핵 결정 후 1개월 사이 주요 대통령 후보를 중심으로 지역 균형 발전 공약들이 쏟아지면서 정책 이슈에 민감한 지역 위주로 가격 움직임이 차별화된 모양새다. 수요자들이 작년 12월부터 올해 5월까지 반년 가까이 이어지는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경기 위축이 심화되자 신규계약 보다는 재계약 위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