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회장 "한국 AI, 이미 늦어…힘 모아 새 전략 마련해야"...AI정책포럼

배병만 산업레저대기자 / 입력 :
  • 글자크기조절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9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 에서 열린 대한민국 AI정책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스1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9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 에서 열린 대한민국 AI정책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스1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AI(인공지능) 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에너지, 데이터, 인재 등 자원을 꼭 필요한 부분에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는 산·관·학이 함께 '원팀'이 돼 새로운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9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대한민국 AI 정책포럼'에서 "AI 경쟁에서 가장 힘든 점은 (기술 개발에) 엄청난 리소스가 들어가는데 기술 발전 속도가 무지하게 빠르다는 것"이라며 "리소스를 제대로 갖춘 국가는 잘 할 수 있고 그렇지 못한 나라는 잘 하기 어렵다"고 했다.


최 회장은 "우리가 모든 AI 분야를 다 잘 할 수는 없다"면서도 "잘 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해서는 인프라를 만드는 등 미래를 개척하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좀 더 효율적으로 리소스를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또 "국가의 운명이 상당히 약화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AI 경쟁에서 뒤처질 수 없다"며 "수출품 같은 것도 미래에는 결국 AI의 도움이 없으면 경쟁력이 약화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렇게 되면) 국가 경제 모델 자체가 전부 부서질 수 있다"며 "지금 AI 개발을 열심히 한다고 해도 이미 늦었다"고 했다.

그는 "하반기에도 이런 토의를 계속 이어가면서 제대로 된 대한민국 AI 정책을 만들어서 집행하면 어떨까"라며 "정부와 민간이 함께 협력해 일을 했으면 한다"고 했다.


대한상의는 이날 한국인공지능학회, 한국인공지능법학회와 함께 'AI 강국 도약을 위한 한국형 AI 생태계 발전 방향'을 주제로 대한민국 AI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산·관·학이 한 데 모여 AI가 경제·사회·산업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고 한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다. 이날 포럼에는 기업·정부·학계 인사 총 300여명이 참석했다.

대한상의는 "AI 정책 전반을 심의하는 국가AI위원회가 출범한 지 8개월 째"라며 "이번 포럼은 AI 정책 방향에 대해 민관이 함께 점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이날 기조연설자로 나선 염재호 태재대학교 총장 겸 국가 AI 위원회 부위원장은 한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산·관·학의 원팀 정신을 강조했다.

염 부위원장은 "AI 생태계가 원활히 순환할 수 있도록 정부가 앞장서야 한다"며 "데이터, 인재, 인프라 등의 자원을 확보하고 민간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과제를 해결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 참석자들은 △한국형 AI 생태계 전략, 기업과 정부의 역할 △제조 AI를 통한 한국의 성공스토리 창출 △글로벌 AI 패권 경쟁 속 K-LLM 경쟁력 확보 방안 등을 논의했다.

최신뉴스

더보기

베스트클릭

더보기
starpoll 배너 google play app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