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태희가 10일 KPGA 클래식 2라운드 경기를 마치고 취재진과 인터뷰 후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안호근 기자 |
프로 20년 차 이태희(41·OK저축은행)는 프로로서 꾸준히 활약할 수 있는 비결로 철저한 자기관리를 꼽았다. 그러한 자기원칙 속에 통산 5번째 우승에 도전한다.
이태희는 10일 제주 서귀포 사이프러스 골프 & 리조트 북서코스(파71·7120야드)에서 열린 한국프로골프(KPGA) 클래식(총상금 7억원) 2라운드에서 버디 8개와 보기 2개를 엮어 14점을 더했다.
전날 버디 5개와 더블 보기 하나로 7점을 기록한 이태희는 21점을 기록하며 11일 최종 3라운드에서 우승에 도전할 수 있는 위치에 올라섰다.
KPGA 투어 유일의 변형 스테이블포드 방식으로 치러지는 이 대회에선 타수 대신 스코어마다 부여한 점수를 합산해 순위를 산정한다. 앨버트로스는 8점, 이글은 5점, 버디는 2점, 파는 0점, 보기는 -1점, 더블 보기 이상은 -3점을 받는다. 버디 이상을 노리는 공격적인 플레이를 유도함으로써 보는 재미를 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대회다.
경기를 마친 뒤 공동취재구역(믹스트존)에서 만난 이태희는 "후반에 플레이가 좋지 않아서 조금 기분이 안 좋게 끝났는데 전체적으로만 본다면 기대하지 않았던 성적이 나온 것 같아서 만족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 |
이태희가 13번 홀에서 드라이버 티샷을 날리고 있다. /사진=KPGA 제공 |
올 시즌 앞선 3개 대회에서 공동 49위 2번과 컷 탈락(공동 90위)의 아픔을 겪었던 이태훈이다. 감기를 완전히 떨치지 못한 상황에서 비 바람, 추위 속에서 지속적으로 경기를 하다보니 컨디션이 올라오지 않았고 이러한 악순환이 반복됐다는 것이다.
전반에만 노보기 버디 7개로 무려 14점을 더했지만 후반 홀에서 버디 하나와 보기 2개로 이븐파에 그쳤다. 이 또한 후반 들어 거세진 바람으로 인한 추위가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후반 들어 갑자기 어두워지더니 바람이 엄청 불어서 덜덜 떨면서 쳤다. 몸이 다시 굳어서 샷이 하나도 안 되면서 찬스가 안 생기더라. 날씨 핑계를 대고 싶진 않은데 추워서 몸이 굳었다"며 "어떻게든 몸에 열을 올렸어야 하는데 그걸 잘 못한 게 아쉽다"고 전했다.
2003년 입회해 이듬해 투어 프로로 뛰어든 20년 차 이태희는 역대 3번째로 통산 상금 30억원을 돌파했다. 빼어난 성적도 필수적이지만 그만큼 롱런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 |
20번째 겪는 시즌에도 특별한 의미를 두지는 않으려 한다. "아직 골프 칠 날이 많이 남았다고 생각한다. 코스에 나올 때마다 저보다 나이 많은 선수나 동갑내기들이 점점 없어진다는 건 느끼고 있다"면서도 "투어에서 몇 년 쳤고 나이가 남들보다 많고 이런 건 전혀 신경 쓰지 않는다. 언제나 저만 생각하고 치고 있다. 연습하는데 제 루틴을 맞추려고 하고 제가 해야 될 것만 집중하다 보니까 20년 차라고 해도 제 플레이를 하는 데에만 신경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물론 롱런할 수 있는 비결이란 건 존재한다. "자기 관리에 집중을 많이 한다. 나이가 어린 선수들처럼 자고 일어나서도 바로 풀스윙 할 수 있다면 정말 좋은데 제 입장에서는 지금 그게 잘 안 된다. 불편한 데도 생기고 그래서 샷이 잘 안 되는 경우가 많아졌다"며 "그렇기에 쇼트게임이 많이 중요해진 시점이다. 그린에 많이 못 올리거나 홀에 많이 가깝게 못 가기 때문에 그걸 세이브 해야 되는 상황이 있는데 제가 그 능력이 좋기 때문에 롱런할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전했다.
자기 관리에 있어 중시하는 건 최상의 경기력을 내기 위 모든 초점을 맞춘다는 것이다. 이태희는 "불필요한 행동을 될 수 있으면 안 하려고 한다. 저에게 최대한 마이너스가 되지 않는 말과 행동을 하려고 생각하고 잠도 일찍 자고 좋은 것도 먹으려고 한다. 그것 말고는 없다"며 "좋은 생각을 하려고, 최대한 긍정적으로 생각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