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4-2025 KBL 챔피언결정전 7차전 SK-LG전이 서울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렸다. 창단 첫 우승을 차지한 LG 조상현 감독이 시상식 후 림 커팅식을 하고 있다. /사진=김진경 대기자 |
![]() |
2024-2025 KBL 챔피언결정전 7차전 SK-LG전이 서울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렸다. 창단 첫 우승을 차지한 LG 선수들이 우승 트로피를 들고 환호하고 있다. /사진=김진경 대기자 |
LG는 17일 오후2시 서울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 서울 SK와의 '2024~20254시즌 KCC 프로농구 챔피언결정전(7전4승제)' 마지막 7차전에서 62-58로 승리했다.
이로써 LG는 시리즈 전적 4승3패로 지난 1997년 창단 이후 첫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달성했다.
조상현 감독이 이끄는 LG는 정규리그 2위로 봄 농구에 진출했다. 4강 플레이오프(PO·5전3선승제)에선 울산 현대모비스를 3연승으로 가볍게 누르고 2000~2001시즌, 2013~2014시즌 이후 11시즌 만에 챔피언결정전에 진출했다.
정규리그에서 1승5패로 약세였던 SK에 초반 3연승으로 압도하며 손쉽게 챔피언 왕좌에 오르는 듯했지만 이후 내리 3연패에 빠지며 우승을 놓칠 위기에 처했다. 하지만 기어이 7차전에서 승리하며 우승을 따냈다.
LG는 1985년생 베테랑 허일영이 적재적소 3점 4개 포함 14득점을 올리며 승리 일등 공신이 됐다. 칼 타마요가 12득점 9리바운드, 양준석이 11득점으로 승리를 도왔다.
![]() |
SK-LG 경기 장면. /사진=김진경 대기자 |
![]() |
김선형(왼쪽)이 패스 줄 곳을 차고 있다. /사진=김진경 대기자 |
LG가 2쿼터에 조금 더 달아났다. 쿼터 초반 SK가 안영준의 3점으로 동점을 만들자 LG는 허일영, 양준석이 연속 3점으로 응수하며 6점 차로 달아났다. 1쿼터 무득점에 그쳤던 워니의 득점이 터지며 SK가 추격을 시도했다.
하지만 LG는 2쿼터에만 3점 4개를 성공시키며 더 달아났다. SK는 쿼터 막판 강한 압박 수비로 LG를 괴롭혔지만 4점 차로 좁히는 데 만족했다. 전반은 LG가 27-23으로 앞선 채 종료됐다.
![]() |
아셈 머레이. /사진=김진경 대기자 |
![]() |
허일영. /사진=김진경 대기자 |
저득점 양상은 이어졌지만 흐름은 팽팽했다. LG는 3쿼터에 2점 없이 자유투와 3점으로 득점을 올렸다. 3쿼터는 LG가 41-38로 앞선 채 끝났다.
최종 승자는 LG였다. 4쿼터 시작하자마자 안영준이 3점으로 동점을 만들자 LG는 승부처에서 '3점 전략'을 사용했다. 허일영, 양준석, 타마요의 3점포가 연이어 림을 갈랐다. 막판 김형빈에게 3점포 연속 두 방을 허용하며 한 점 차로 쫓겼지만 결국 LG가 승리하며 챔피언 왕좌에 올랐다.
![]() |
몸 싸움을 펼치는 자밀 워니(가운데). /사진=김진경 대기자 |
![]() |
양준석이 슛을 시도하고 있다. /사진=김진경 대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