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8일 부산 사직야구장에 많은 관중들이 들어왔다. /사진=롯데 자이언츠 제공 |
한국야구위원회(KBO)는 지난 18일 총 5개 구장에서 열린 2025 신한 SOL Bank KBO 리그 경기에서 총 8만 9654명이 입장, 시즌 누적 400만 6296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KBO 리그는 지난 3월 23일 개막 후 230경기 만에 400만 관중을 돌파했다. 이는 역대 최소 경기 400만 관중 신기록이다. 종전 기록이었던 2012년 255경기보다 25경기나 빨랐다. 최다 관중 신기록을 세운 지난해 285경기와 비교하면 무려 55경기가 빠른 페이스다. 지난 17일에는 5개 구장에서 더블헤더가 열리며 총 16만 5276명이 입장, 일일 최다 관중 신기록을 달성했다.
경기당 평균 관중은 1만 7419명으로 지난해 동일 경기수 대비 20% 가량 증가했다. 현재 기세대로라면 1000만 관중 달성은 물론이고 1100만, 1200만까지 노려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수치상 가장 많은 관중이 들어온 건 삼성 라이온즈로, 홈 28경기에 61만 6310명의 관중을 불러모아 가장 먼저 60만 관중을 돌파했다. 여기에 평균 관중 역시 2만 2011명으로 가장 많다. LG 트윈스(2만 1903명)와 두산 베어스(2만 184명) 등 서울 잠실야구장을 홈으로 쓰는 두 팀도 평균 2만 관중을 넘었다. 여기에 한화 이글스는 1만 7000석의 신구장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로 이사한 후에도 KBO 최초 18경기 연속 홈경기 매진 기록을 세웠다.
![]() |
관중으로 가득 찬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의 전경. /사진=삼성 라이온즈 제공 |
![]() |
KBO 최초 홈 18경기 연속 매진을 기록한 한화생명볼파크 전경. /사진=한화 이글스 제공 |
이는 롯데 성적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단 하루도 5할 승률 이상을 거두지 못했던 롯데는 19일 기준 올해 승률 0.609(28승 18패 2무)로 한화와 공동 2위에 올랐다. 4월 월간 승률 공동 1위(0.667)로 반등에 성공한 후 5월에도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만약 이대로 간다면 한동안 사직에서 나오지 않았던 평균 관중 2만 명 기록도 세울 수 있게 된다. 롯데는 제리 로이스터 감독 시절인 2008년 경기당 2만 1901명으로 처음으로 2만 명의 벽을 넘었고, 이듬해에도 매 경기 2만 597명씩 들어왔다. 이후 양승호 감독이 지휘봉을 잡은 2011년(2만 273명)과 2012년(2만 742명)에도 달성했다.
![]() |
18일 부산 사직야구장에 많은 관중들이 들어왔다. /사진=롯데 자이언츠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