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국립스포츠박물관 개관 앞두고 '대한민국 스포츠 스타 기증 릴레이' 시작... 장미란 총 88점 기증

김우종 기자 / 입력 :
  • 글자크기조절
2008 베이징올림픽 당시 입었던  역도 선수복.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2008 베이징올림픽 당시 입었던 역도 선수복.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장미란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장미란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가 국민체육진흥공단(공단)과 함께 국립스포츠박물관의 개관을 앞두고 스포츠 분야 최초 국립박물관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대한민국 스포츠 스타 기증 릴레이'를 시작한다. 그 첫 번째 주자로 지난 23일 한국 여자 역도 최초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장미란 제2차관이 나섰다.

문체부는 우리 국민이 스포츠 역사와 정신에 더욱 쉽게 다가가고, 감동과 열정의 순간들을 체험할 수 있도록 올림픽공원(서울 송파구) 안에 2026년 하반기 개관을 목표로 국립스포츠박물관을 건립하고 있다. 이번 '기증 릴레이'는 우리나라 스포츠 스타들이 소장하고 있는 유물 기증을 통해 국립스포츠박물관 건립 취지를 널리 알리고자 마련했다.


장 차관은 선수 시절을 함께한 소장품 총 88점을 기증했다. 주요 기증품으로는 첫 올림픽 메달인 2004년 아테네올림픽 은메달과 대한민국 여자 역도 최초 올림픽 금메달인 2008년 베이징올림픽 금메달, 2012년 런던올림픽 동메달 등 올림픽 메달 전체와 아시아경기대회 메달, 열정이 스며든 선수복과 역도 벨트, 역도화 등이 있다.

장 차관은 선수 시절을 회상하며 잊을 수 없는 대회로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손꼽았다. 평소 경쟁보다 기록이 더 중요하다는 소신이 있었던 장 차관은 베이징올림픽 당시 세계신기록을 세우겠다는 큰 꿈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며 훈련해 금메달 획득과 세계신기록 수립을 모두 달성했다. 특히 당시 훈련에서 뒷굽을 갈고 또 갈며 신었던 역도화를 두고 동료 선수들과 지도자들이 박물관에 가야 한다는 농담을 했었는데, 이번 기증으로 정말 유물이 되었다며 남다른 소회를 밝히기도 했다.

2008 베이징올림픽 당시 신었던 역도화.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2008 베이징올림픽 당시 신었던 역도화.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장 차관은 "이번 '기증 릴레이'의 첫 번째 주자로 참여하게 돼 영광이다. 개인적으로도 뜻깊은 유물들이지만, 국민 여러분과 함께 공유하며 그 가치를 다음 세대에도 나누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했다"며 "'기증 릴레이'를 통해 국립스포츠박물관의 개관을 널리 알리고, 박물관이 대한민국 스포츠의 역사와 감동을 전하는 중심 공간이 될 수 있도록 많은 참여와 관심을 바란다"고 밝혔다.


문체부는 "국립스포츠박물관 개관 전까지 '기증 릴레이'는 계속 이어질 예정이며, 올림픽 메달리스트 등 대한민국 스포츠사의 주요 인물들이 동참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체부는 기증 유물을 국민과 함께하는 스포츠 문화 콘텐츠로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2008 베이징올림픽 역도 금메달.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2008 베이징올림픽 역도 금메달.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2004 아테네올림픽 역도 은메달.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2004 아테네올림픽 역도 은메달.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2012 런던올림픽 역도 동메달.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2012 런던올림픽 역도 동메달.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올림픽 금·은·동 메달 전체.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올림픽 금·은·동 메달 전체.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장미란(오른쪽)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이 하형주 국민체육진흥공단 이사장으로부터 유물 기증 증서를 받고 있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장미란(오른쪽)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이 하형주 국민체육진흥공단 이사장으로부터 유물 기증 증서를 받고 있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기자 프로필
김우종 | woodybell@mtstarnews.com

안녕하세요. 스타뉴스 김우종 기자입니다.

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베스트클릭

더보기
starpoll 배너 google play app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