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웹툰 '내가 사랑하는 초등학생' |
3일 스타뉴스 취재에 따르면 '내가 사랑하는 초등학생'의 드라마 제작은 최종 무산됐다. 소아성애와 그루밍 범죄 미화 논란에 따른 여파다. 제작사 메타뉴라인 측은 당초 원작과 다른 방향으로 드라마화할 것이라는 취지의 입장을 내고 항간의 우려를 잠재우려 했지만, 사안의 민감성을 고려해 결국 제작 포기를 결정했다.
메타뉴라인은 이날 스타뉴스에 "최근 사회적으로 제기된 여러 우려의 목소리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웹툰 '내가 사랑하는 초등학생'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의 기획 및 제작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2015년에 제작된 원작 작품에까지 새로운 부담을 드리게 된 점에 대해 작가님께도 진심으로 송구한 마음을 전한다"며 "변화하는 사회적 감수성과 흐름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이번 일을 계기로 더욱 신중하고 책임 있는 자세로, 앞으로도 건강하고 의미 있는 콘텐츠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 |
/사진=웹툰 '내가 사랑하는 초등학생' |
최근에는 원작 플랫폼 씨앤씨레볼루션과 제작사 메타뉴라인이 해당 작품의 드라마화를 공식화하면서 교사 단체들의 반발을 샀다. 해당 작품에는 주인공인 여교사가 초등학생에게 이성적으로 설렘을 느끼는 장면이 묘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지난 1일 성명서를 내고 드라마 제작과 방영 중단을 촉구했다.
한국교총은 이날 성명서를 통해 "교사는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과 신뢰 관계를 형성하고, 여타 직종보다 높은 도덕성·전문성을 갖고 교육에 매진해야 하는 직위에 있다"며 "이러한 지위를 악용해 미성년 제자와 사적인 감정을 나누고 이를 연애 관계로 발전시키는 서사는 결코 로맨스나 판타지로 치부할 수 없는 명백한 그루밍 범죄의 미화"라고 지적했다.
이어 "창작과 예술적 독창성이라는 명분으로 아동을 성적 대상화하는 시도는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며 "해당 드라마 소재는 교육현장에서 헌신하는 모든 교육자의 명예를 실추시키고 교직사회 전체에 대한 깊은 불신을 초래하며 교사와 학생, 학부모 사이 신뢰를 흔드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또한 한국교총은 "드라마 제작사와 방송사는 즉각 제작 계획을 철회하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 관계 기관은 콘텐츠의 유해성을 철저히 검토하고 엄격하게 심의하라"고 밝혔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도 2일 성명서를 내고 "'내가 사랑하는 초등학생'의 실사 드라마 제작 추진 소식에 대해 전국 초등학교 교사들은 충격과 분노에 휩싸였다"고 전했다. 전교조는 해당 작품이 웹툰 연재 당시에도 여러 차례 논란이 있었다며 "웹툰에는 실제로 이를 묘사하거나 암시하는 장면도 나온다"고 지적했다.
전교조는 "드라마는 웹툰이 아니다"며 "웹툰 장면을 실사로 만들면 그 파급의 크기가 다르다. 드라마는 시각적 연출, 음악, 배우의 표정과 대사 등을 통해 시청자에게 훨씬 더 직접적인 감정 몰입과 해석을 유도하는 매체다. 게다가 일단 방영한 뒤에는 논란이 생겨도 이를 수습하거나 대응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고 우려를 표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구조 속에서 성인인 교사와 초등학생 사이의 '설렘', '감정 흔들림', '위로'와 같은 장면은 자칫 연애감정으로 오독되거나 미화될 수 있다"며 "교육 윤리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메시지를 사회 전체에 전달하는 꼴이 되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이는 교육 현장 전체를 왜곡하고 교사에 대한 신뢰를 훼손하며, 무엇보다 학생들을 보호해야 할 최소한의 사회적 안전장치마저 파괴하는 행위다"며 "전교조 초등위원회는 아이들이 안전하고 존중받는 학교, 교사들이 신뢰받는 교육 현장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대응할 것"이라고 전했다.
결국 네이버웹툰, 카카오페이지, 리디 등 주요 플랫폼은 '내가 사랑하는 초등학생'의 서비스를 중단했다. 뉴스1에 따르면 네이버웹툰 관계자는 "문제의 여지가 있다는 다수 이용자 의견에 따라 이용자 보호 차원에서 판매를 중단했다"고 말했다. 카카오페이지 관계자도 "관련 이슈를 인지 후 발행처와 협의해 작품 판매를 중지했다"고 알렸다.
메타뉴라인도 해당 작품의 드라마화에 대한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자 결국 제작 중단을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