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시환에게 맞은 투수는 칭찬, 채은성에게 허용한 마무리에는 쓴소리... 홈런 맞은 건 똑같은데 '대체 왜'

김동윤 기자 / 입력 :
  • 글자크기조절
키움 마무리 투수 주승우. /사진=키움 히어로즈 제공
키움 마무리 투수 주승우. /사진=키움 히어로즈 제공
키움 히어로즈가 경기 막판 홈런에 이틀 연속 경기를 내줬다. 하지만 사령탑의 눈에 두 개의 피홈런은 같지 않았다.

키움은 지난 주말 한화 이글스와 홈 3연전을 모두 내주며 26승 3무 59패로 최하위를 지켰다. 최하위 팀과 1위 팀 간 맞대결이었지만, 앞선 두 경기는 8회까지 동점 내지 1점 차 팽팽한 접전이 펼쳐져 만원 관중들의 손에 땀을 쥐게 했다.


결정적인 한 방에 키움은 2경기를 모두 내줬다. 4일 고척 한화전에서는 1-1로 맞선 9회초 노시환이 몸쪽 높게 온 조영건의 2구째 시속 145㎞ 직구를 그대로 좌측 담장 밖으로 크게 넘겼다. 5일 고척 한화전에서는 채은성이 키움이 3-2로 앞선 8회초 2사 1루에서 높게 몰린 시속 132㎞ 포크를 통타해 역전 좌월 투런포를 때려냈다. 이 홈런으로 넘어간 분위기를 만회하지 못해 키움은 각각 1-2, 4-6으로 역전패했고, 이는 6일 경기 패배까지 이어져 4연패가 됐다.

막판 홈런을 내주고 경기를 내줬다는 결과 자체는 같았지만, 홍원기(52) 감독은 각각의 홈런에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6일 경기 전 취재진과 만난 홍원기 감독은 4~5일 피홈런에 대해 "조영건 선수가 노시환 선수에게 홈런을 맞은 건 오히려 조영건 선수를 칭찬해줬다. 그건 조영건의 실투가 아니었다. 조영건이 굉장히 (몸쪽으로) 잘 넣었는데 노시환 선수가 말도 안 되게 잘 친 공이었다. 그래서 그 승부에는 후회가 없다"고 말했다.

채은성에게 허용한 주승우의 피홈런에는 의견이 달랐다. 주승우는 2B2S의 유리한 볼카운트에서 자신의 주 무기인 포크볼로 아웃 카운트를 잡으려다가 한가운데 몰려 홈런을 맞았다. 앞서 직구 2개와 슬라이더 2개로 2스트라이크까지 잘 잡았기 때문에 이 선택에는 아쉬움이 남았다.


키움 홍원기 감독. /사진=키움 히어로즈 제공
키움 홍원기 감독. /사진=키움 히어로즈 제공
홍원기 감독은 "다만 주승우 선수의 승부는 한 번 되짚어 봐야 할 것 같다. 결과론이고 선수 본인도 제일 자신 있는 구종을 선택했겠지만, 상대가 패스트볼에 타이밍이 늦고 슬라이더에도 타이밍이 맞지 않았는데 굳이 포크볼을 던졌어야 했나 싶다. 실투인 점도 있었지만, 주승우 선수가 지난 SSG전(6월 19일)도 그렇고 올해 피홈런이 많다. 그런 면에서 앞으로 마무리 투수로서 성장하려면 한 번쯤 되짚어봐도 될 것 같다"고 차분하게 설명했다.

실제로 올해 주승우는 프로 4년 차, 마무리 2년 차를 맞아 32경기 2승 1패 4홀드 12세이브 평균자책점 2.43으로 커리어하이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51⅔이닝 동안 4개의 홈런을 허용했던 것과 달리, 올해는 33⅓이닝 만에 벌써 7개의 홈런을 내주고 있다.

주승우는 송추초(의정부리틀)-영동중-서울고-성균관대 졸업 후 2022년 KBO 신인드래프트 1차 지명으로 키움에 입단한 우완 투수다. 고3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해 성균관대에서 시속 150㎞를 쉽게 던지는 마무리 투수로서 주목받았다. 시행착오를 거쳐 지난해 마무리로 자리 잡았고 올해는 본격적으로 마무리 투수로서 등판 중이다.

저조한 팀 성적에도 많은 멀티 이닝(8회)을 소화하면서도 12개의 세이브를 올리며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어 내년 9월 있을 2026 아이치·나고야 아시안게임 승선할 후보군 중 하나다. 조금 더 잘 성장하길 바라는 사령탑의 쓴소리에 어린 마무리 투수가 어떻게 성장할지 팬들의 관심이 쏠린다.
기자 프로필
김동윤 | dongy291@mtstarnews.com

스타뉴스 스포츠부 김동윤입니다. 초심 잃지 않고 열심히 뛰겠습니다.

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베스트클릭

더보기
starpoll 배너 google play app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