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풋볼 챔피언십(동아시안컵) 한국-중국전이 7일 경기도 용인미르스타디움에서 열렸다. 대한민국 이동경이 중국 우미티지앙 우수푸를 등진 채, 슛 찬스를 노리고 있다. /사진=김진경 대기자 |
![]() |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풋볼 챔피언십(동아시안컵) 한국-중국전이 7일 경기도 용인미르스타디움에서 열렸다. 대한민국 주민규가 헤더슛으로 두 번째 골을 터뜨리고 있다. /사진=김진경 대기자 |
중국 매체 티탄스포츠는 8일(한국시간) "이 경기 0-3 패배 결과는 사실 예상된 것이었다"며 "한국과 일본은 최근 동아시안컵에 계속 국내 리그 선수들을 주축으로 참가해 2군이나 3군으로 불렸다. 반면 해외 진출 선수가 없는 중국은 거의 최상의 라인업으로 출전했는데도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근본적인 원인은 리그 수준이 너무 낮기 때문일 것"이라고 꼬집었다.
매체는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에선 중국 슈퍼리그 팀들이 외국인 선수들 덕분에 어느 정도 실력 차이를 메울 수 있지만, 동아시안컵은 외국인 선수를 출전시킬 수 없다. 오롯이 K리그와 J리그, 슈퍼리그 선수들이 맞붙는 대회"라며 "이런 대회에서 한국과 중국, 일본 3개국 간 격차는 더욱 벌어진다. 이미 수년간 리그의 강도, 리듬 등 수준은 격차가 명확하다. 이번 한국전 역시 이를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매체는 경기 초반부터 체력적인 부침이 눈에 띄게 드러난 중국 대표팀 선수들의 모습을 대표적인 예시로 꼽았다. 티탄스포츠는 "한국이 20분 만에 2-0 리드를 잡았을 대, 중국 선수들은 벌써부터 체력 고갈 증상을 보였다. 국내에선 활기차게 뛰던 선수들이 더 높은 수준의 무대에선 단 20분의 고강도 경기를 버티지 못한 것"이라며 "선수들이 계속 근육 경련 증세를 느낀 것 역시도 경쟁력 부족의 일환일 것"이라고 비판했다.
![]() |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풋볼 챔피언십(동아시안컵) 한국-중국전이 7일 경기도 용인미르스타디움에서 열렸다. 중국 데얀 주르예비치 감독이 선수들을 독려하고 있다. /사진=김진경 대기자 |
티탄스포츠는 "현재 중국축구의 현실은 단순히 감독을 교체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면서 "정작 중국의 청소년 엘리트 선수들은 한국이나 일본, 호주 등 강팀과 맞서 싸우고 있다. 이 작은 희망들이 성장해 뛸 수 있는 최고 무대는 슈퍼리그인데, 정작 리그 수준이 낮다 보니 결국 희망들을 삼켜버릴 것이다. 결국 전면적인 개혁을 하지 않으면 희망도 사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홍명보 감독이 이끈 한국은 7일 용인미르스타디움에서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1차전에서 이동경(김천 상무)과 주민규(대전하나시티즌), 김주성(FC서울)의 연속골을 앞세워 중국을 3-0으로 완파했다. 한국은 오는 11일 홍콩, 15일 일본과 차례로 격돌한다.
![]() |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풋볼 챔피언십(동아시안컵) 한국-중국전이 7일 경기도 용인미르스타디움에서 열렸다. 대한민국 주민규가 헤더슛으로 두 번째 골을 터뜨린 후 이동경과 기뻐하고 있다. /사진=김진경 대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