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news

'노량' 김한민 감독 "'명량', 포 쏘는 것도 버벅..많이 수월해져"[인터뷰②]

발행:
김나연 기자
김한민 감독 / 사진=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롯데엔터테인먼트
김한민 감독 / 사진=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롯데엔터테인먼트

'노량: 죽음의 바다'의 김한민 감독이 100여분의 해전신을 연출한 과정을 밝혔다.


19일 서울시 종로구 소격동의 한 카페에서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의 김한민 감독과 만나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


'노량: 죽음의 바다'는 임진왜란 발발 후 7년, 조선에서 퇴각하려는 왜군을 완벽하게 섬멸하기 위한 이순신 장군의 최후의 전투를 그린 전쟁 액션 대작.


김한민 감독은 '명량'(2014)을 시작으로 '한산: 용의 출현'(2022), '노량: 죽음의 바다'에 이르기까지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하나의 시리즈, 세 명의 캐스팅이라는 획기적인 기획 하에 준비 기간까지 포함하면 10년이 훌쩍 넘는 과정을 통해 이순신 3부작 프로젝트를 완성해냈다.


특히 김한민 감독은 해상전에서 나올 수 있는 모든 전투 상황들을 충실하게 담은 액션 블록버스터를 완성했다. 100여 분이 넘는 해전 연출에 공을 들여 전투에서 느낄 수 있는 카타르시스를 최대한도로 전달하며 최후의 승리를 스크린에 구현해냈다.


이날 김한민 감독은 "'명량'을 할 때만 해도 전쟁 액션은 10~15분 넘어가면 힘들어서 못 본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근데 '명량'에서 61분, '한산: 용의 출현'에서 51분, '노량: 죽음의 바다'에서는 100여분에 가까운 시간을 해전신에 할애했다"며 "이순신 장군의 해전신을 제대로 보여준 작품은 없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 해전 속에서 삶과 죽음에 대한 생각, 장군님의 리더십이 가장 잘 드러났을 거기 때문에 제대로 포커싱을 맞춰서 영화를 만들어보고 싶었다"고 밝혔다.


'명량'에서의 도전이 관객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고, 김한민 감독은 '한산: 용의 출현', '노량: 죽음의 바다'에서 더 장대한 서사와 큰 스케일의 해전신을 완성할 수 있었다. 김한민 감독은 "이번 작품에서는 수월한 점도, 어려운 점도 있었다"고 털어놨다.


그는 "'명량' 때는 포 한 번 쏘는 것도 버벅거렸다. 어떤 식으로 영상화되고, 어떤 식으로 다시 쏴지는지 하나하나가 힘들었는데 그 뒤에는 훨씬 수월해졌고, 디테일을 조절하는 데 집중했다"며 "'노량: 죽음의 바다'는 한 척의 배가 아니라 함대전으로 이뤄졌기 때문에 힘들었던 것은 사운드였다. 박진감 있는 사운드로만 구성해서도 안 될 것 같고, 전쟁의 치열함만 보여주는 게 아니라 인물의 정서도 담아야 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다 보니까 각 나라의 특징이 사운드에 담겼으면 좋겠고, 100분을 진행하다 보니까 완급조절이 있어야 관객들이 따라올 수 있다는 생각에 리듬과 호흡에 신경 썼다"며 "그게 하나의 오케스트라가 돼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관객들에게 어필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사운드 작업의 노력과 고충이 있었다. 시사회 전날까지도 사운드 작업을 계속하고 있던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300만 앞둔 '귀멸의 칼날 : 무한성편' 日 성우 내한
진선규 '시크한 매력'
'13회 부코페 개막합니다'
'살인자 리포트, 믿고 보세요'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10주년 AAA 2025' 최정상 아티스트 한자리에!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홍명보호 악재' 황인범 부상, 9월 A매치 불참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