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BS 지식건강 예능 '세 개의 시선'이 현대인의 몸을 조용히 잠식하는 '독소'의 정체를 역사·과학·의학 세 가지 시선으로 파헤친다. 살을 빼도 다시 찌고, 피로가 반복되고, 염증이 사라지지 않는 이유가 이번 방송을 통해 밝혀진다.
11월 2일 오전 8시 35분 방송되는 SBS '세 개의 시선'에서는 인공눈물과 파스를 달고 살 만큼 눈이 쉽게 건조해지고, 몸이 뻐근하며 피로가 풀리지 않는 근본 원인에 대해 살펴본다. '세 개의 시선'은 이러한 증상이 단순한 노화나 습관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몸 어딘가에 보이지 않게 쌓이고 있는 '독소'의 신호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한 세기 전, 인류는 '맛의 혁명'을 일으킨 한 가지 반응을 발견했다. 덕분에 우리는 바삭하고 고소한 맛의 즐거움을 누리게 됐지만, 그 편리함이 오늘날에는 몸을 병들게 하는 '달콤한 저주'로 되돌아오고 있다. 삼겹살, 구운 두부, 볶은 아몬드, 심지어 아이스 아메리카노까지 우리가 일상적으로 즐기는 음식 속에 숨어 있는 뜻밖의 '무언가'의 정체와, 우리의 식탁이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인지를 집중 추적한다.

역사학자 이창용 도슨트는 '비만 왕' 조지 4세를 비롯한 역사 속 인물들의 비극적인 최후를 통해 '비만'이 단순한 체중 문제가 아닌 몸의 신호체계가 무너진 결과임을 짚어낸다. 또한 과학 작가 곽재식은 같은 몸무게라도 전혀 다른 내장지방 비율을 가진 사람들의 복부 CT를 공개하며 "겉은 말라도 속은 이미 위험하다"고 경고한다. 허수정 가정의학과 전문의는 "이 독소는 세포의 기능을 교란시키고 신체의 균형을 무너뜨린다"며, '살이 찌는 이유'가 아닌 '살이 빠지지 않는 이유'를 밝혀낸다.
마지막으로 약사 이지향은 수천 년 전부터 인류가 활용해온 자연의 해독 비법을 소개한다. 고대 의학서 아유르베다에 기록된 한 약초 속에는, 몸속 비만 독소를 지워내는 놀라운 단서가 숨겨져 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