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SKT, 국내 최대규모 GPU 클러스터 가동

SKT, 국내 최대규모 GPU 클러스터 가동

발행 :

김혜림 기자
SK텔레콤 직원들이 가산 인공지능 데이터센터(AI DC)에서 B200 구독형 그래픽처리장치(GPUaaS) 준비상황에 대해 점검하고 있다.
SK텔레콤 직원들이 가산 인공지능 데이터센터(AI DC)에서 B200 구독형 그래픽처리장치(GPUaaS) 준비상황에 대해 점검하고 있다.

SK텔레콤이 최근 국내 최대 규모, 최고 성능의 GPU(그래픽 처리장치)를 구독형 상품으로 출시했다.


SKT는 지난 1일 엔비디아의 최신 AI(인공지능) 칩인 '블랙웰 B200'을 1000장 이상 규모로 구성해 구독형으로 제공하는 '소버린 GPUaaS(서비스형 GPU)'를 출시했다며 5일 이같이 밝혔다. GPUaaS란 대규모 모델 학습 및 추론을 위해 설계된 GPU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일컫는다.


SKT는 B200에 대해 "지난 12월 출시한 H100 기반 GPUaaS보다 한층 발전된 형태로, 향후 국내 AI 산업의 인프라 확충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가산 AI 데이터센터(이하 AI DC) 내에 H100에 이은 최신 B200 GPU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국내 GPU 부족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AI DC 시장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클러스터 이름은 '해인'(海印, Haein)으로 지어졌다. 팔만대장경이 보관된 해인사에서 이름을 따왔다. SKT B200 클러스터가 디지털 팔만대장경을 품은 K-소버린 AI인프라가 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SKT의 이번 해인 클러스터의 GPUaaS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AI-컴퓨팅 자원 활용 기반 강화(GPU 임차 지원) 사업'에 선정되기도 했다.


GPU 임차 지원 사업은 국내 AI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국가 AI 생태계의 고도화를 위해 추진됐다. SKT는 이번 사업을 통해 가산 AI DC를 국내 AI 산업 발전의 중추적 기반 인프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SKT는 이번 GPUaaS 출시를 위해 미국 AI DC 통합 솔루션 기업인 펭귄솔루션스와 전략적 협력을 추진해왔다. 펭귄 솔루션스는 엔비디아 인증 10대 구축 파트너로서 25년 이상 HPC(고성능 컴퓨팅) 솔루션 설계, 제공 및 관리에 주력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온 기업이다. 지난해 7월 SKT는 펭귄솔루션즈와 2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단행하고 시너지를 높이기 위한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해왔다.


이외에도 SKT는 글로벌 AI서버 제조사 슈퍼마이크로와의 협력을 통해 단기간 내 GPU 서버를 빠르게 수급할 수 있었다.


SKT의 독자적 기술력도 다각도로 활용된다. 자체 가상화 솔루션인 '페타서스(Petasus) AI 클라우드'를 활용, GPU 클러스터를 고객 수요에 맞춰 즉시 분할하고 재구성해 가동률을 극대화 했다.


이번 SKT의 B200 기반 GPUaaS 출시는 지난해 12월 글로벌 AI 클라우드 전문기업 람다(Lambda)의 한국 리전(Region) 개소에 이은 또 하나의 실질적 성과로 꼽힌다.


김명국 SKT GPUaaS사업본부장은 "최신 GPU인 B200을 활용해 국내 최대 규모로 준비한 SKT 해인 클러스터의 GPUaaS는 고객 및 국가의 AI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AI 인프라 사업자로서 국가 AI 고속도로 구축에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주요 기사

비즈/라이프-테크/IT의 인기 급상승 뉴스

비즈/라이프-테크/IT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