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최태원 회장 "SK그룹 AI 전략 핵심, 파트너와의 협력"...'SK AI 서밋 2025'

최태원 회장 "SK그룹 AI 전략 핵심, 파트너와의 협력"...'SK AI 서밋 2025'

발행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SUMMIT 2025'에서 Al NOW & NEXT를 주제로 기조연설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3일 "SK는 고객, 파트너와 경쟁하지 않는다"며 "그게 원칙이며 파트너와 함께 공동으로 솔루션을 설계하고 발전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이날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SK AI 서밋은 반도체, 에너지솔루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에이전트 서비스 등 모든 영역에 걸친 SK그룹의 AI 경쟁력을 국내외 기업과 학계에 소개하고, 글로벌 빅테크와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행사다.


최 회장은 "올해는 작년(3만명)보다 더 많은 3만5000명이 행사에 참여했다"며 "APEC CEO 서밋에서도 AI가 가장 큰 주제였다. AI가 각 국의 산업과 경제, 개인의 삶을 바꾸고 있다는 것을 실감했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 AI 산업은 초기 단계라 공식적인 통계는 없지만 많은 기업이나 이 분야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은 AI 수요가 폭증할 것이라고 예측한다"고 했다.


AI 수요 증가의 근거로는 ▲추론(inference)의 본격화 ▲기업간거래(B2B)의 AI 도입 ▲에이전트의 등장 ▲국가간 소버린 AI(주권형 AI) 경쟁을 꼽았다.


최 회장은 "모든 기업들이 AI가 사업에 적용되지 않으면 도태된다고 보며 경쟁을 위해 AI를 도입하고 있고, 이 과정에 비용은 고려되지 않아 B2B AI 시장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문제는 수요가 늘면 공급이 따라주냐는 건데, 솔직히 AI 컴퓨팅 파워에 대한 공급은 수요 성장세를 따라가기 어렵다"며 "상당한 미스매치가 일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 회장은 또한 SK의 과제로 ▲차세대 AI 반도체 성능을 뒷받침할 안정적 메모리 반도체 공급 ▲미래 AI 인프라 구축 ▲AI 과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 AI 활용 등을 꼽았다.


그는 "가장 효율적인 AI 솔루션을 찾아보자는 것이 우리의 미션"이라며 "더 이상 AI 스킬이 아닌 효율을 경쟁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SK는 메모리 공급량 증가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하고, 기술 개선으로 해결하려 한다는 설명이다.


최 회장은 SK하이닉스가 HBM 증산을 위해 내년 중 본격 가동할 청주캠퍼스 M15X팹(공장), 2027년 본격 가동할 용인반도체클러스터를 소개했다.


그는 "AI 메모리 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겠다. 용인반도체클러스터는 팹 한 곳당 청주캠퍼스 M15X 6개가 들어간다"며 "용인반도체클러스터 4개 팹이 완성되면 청주캠퍼스 M15X 팹 24개가 지어지는 효과"라고 충분한 양의 메모리반도체 공급 의지를 강조했다.


최 회장은 "공간을 먼저 마련하고 기계를 집어넣어 수요를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며 "공급 부족 상황을 최대한 막아보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증산 뿐 아니라 고용량 및 가격 경쟁력을 갖춘 낸드플래시메모리 콘셉트의 제품 개발도 대안으로 제시했다.


최태원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SK AI 서밋 20 25' 키노트 세션에서 'AI Now & Next'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제공=뉴스1

최 회장은 "AI의 문제를 풀 수 있는 건 AI"라며 "메모리반도체 생산 속도를 높이고 데이터센터 운영 자동화와 가상화에 AI 적용을 늘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달 황 CEO와 만나 의견을 같이한 'AI 팩토리' 협력을 바탕으로 메모리반도체 성능 개선과 생산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SK하이닉스는 이를 위해 엔비디아의 GPU와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활용한 가상 공장을 만들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메모리반도체 생산공정을 완전 자율화할 계획이다.


최 회장은 "메모리 반도체 생산, 데이터센터 운영에도 AI를 적용하고자 한다"며 "효율과 스피드를 높이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런 솔루션을 위해서는 SK 혼자서는 못 한다"며 "파트너와 함께 공동으로 솔루션 설계를 발전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AI는 혼자 할 수 있는 이야기가 아니다. SK AI 전략의 핵심은 파트너와 공동으로 솔루션을 설계하고 발전해가는 것"이라며 "SK는 고객, 파트너와 경쟁하지 않고 빅테크와 정부, 스타트업 등 여러 파트너들과 AI 사업기회를 만들어 최고 효율의 AI 솔루션을 찾을 것"이라고 전했다.


최 회장 기조연설 중에는 앤디 제시 아마존 CEO,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보내온 영상 메시지가 상영돼 SK와의 AI 데이터센터, AI 컴퓨팅 분야 협력 성과 및 앞으로의 의지가 공개됐다.


제시 CEO는 SK와 아마존웹서비스(AWS)의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협업을 평가하며 "반도체 성능 개선이 AI 인프라 개선의 필수로 꼽히는 가운데 SK는 아마존의 대표적인 AI 솔루션 확장 파트너"라고 말했다.


올트먼 CEO도 "각 개인이 지능형 AI 비서를 계속 활용하려면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다"며 "SK와 같은 파트너십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올해 SK AI 서밋은 지난해 SK그룹 멤버사 중심으로 꾸려졌던 전시를 스타트업, 학계, 해외 기업 등으로 참여 범위를 넓혀 규모와 다양성을 키웠다. AWS, 엔비디아, 슈나이더 일렉트릭 등 빅테크가 각자의 AI 데이터센터, AI 에이전트, AI 팩토리 등 AI 기술을 국내에 직접 선보였다.



추천 기사

비즈/라이프-비즈/산업의 인기 급상승 뉴스

비즈/라이프-비즈/산업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