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이 높을수록 현실은 남루한 법이다. 보잘것 없는 트럼펫 연주자 현우도 세상이 구리구리하다. 오케스트라에는 못 들어가겠는데 학원강사는 꺼림칙하고 밤무대는 천박하다. 우여곡절 끝에 찾아간 곳이 강원도 탄광촌 도계. 중학교 관악부 선생님 자리를 얻긴 했는데 초라한 아이들을 보고는 맥이 탁 풀린다.
최민식이 주연을 맡은 새 영화 '꽃피는 봄이오면(제작 씨즈엔터테이먼트)'은 그런 현우가 말하는 희망의 이야기다. 현우는 비 맞고 난롯불을 쬐다 잠이 들듯 저도 모르게 도계에 스며들면서 음악에 대한 애정과 접어둔 사랑, 잃어버렸던 여유를 되찾아간다.
영화를 보다 보면 음악의 효용이 정말 무궁무진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음악이 삶의 전부인 사람들에게 효용이 어쩌구 하는 것은 큰 실례겠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음악은 포기해버린 꿈이거나 수줍은 사랑고백이자 삶의 활력소이지 않은가.
여자친구 앞에서 폼잡고 '사랑의 트위스트'를 색소폰으로 불어대는 중삐리의 흥겨움에 그만 웃음이 터진다. '그저 연주하고 싶다'는 탄광촌 아마추어 음악가의 진심이 전해질 때는 눈물이 핑 돈다. 갱도에서 일하다 짐짝처럼 실려나온 광부 아저씨를 잠시나마 위로하는 것도 음악이요, 못다한 고백을 대신하는 것도 음악이다.
술취한 친구가 내뱉는 짤막한 대사 "그래도, 음악 좋잖아"가 경험과 공명할 때는 영화 전체가 힘을 얻는다. 비단 음악뿐이랴. 그래도 좋은 건 그림일수도 글쓰기일수도, 진심이 담긴 그 무엇일수도 있는 거다.
좋아하는 여자가 딴 놈과 결혼을 한다고 해도 맘에 없는 소리나 하고, 엄한 데 돌을 던지며 화풀이하는 주인공 이현우는 주위에 한둘은 있을법한 평범한 사람이다. 그러나 최민식인지 이현우인지 모를 이 허술하고도 정겨운 남자는 보는 사람을 무장해제시키는 데가 있다. 그것이 모난 데 하나 없는 '착하기만 한 영화'를 지루하지 않게 끌어가는 연기의 힘이다. 현우 어머니 역의 윤여정도 감칠맛을 더한다.
봄날은 간다'의 허진호 감독 아래서 조감독을 지낸 류장하 감독의 데뷔작. 감독은 '봄날은 가도 다시 꽃피는 봄이 온다'며 그동안 못다한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23일 개봉. 전체관람가.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