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조여정 이중계약 논란 진실게임..연매협 결정은?(종합)

조여정 이중계약 논란 진실게임..연매협 결정은?(종합)

발행 :

전형화 기자
배우 조여정 / 사진=임성균 기자
배우 조여정 / 사진=임성균 기자

배우 조여정이 이중계약 논란에 휘말린 가운데 현 소속사와 새로운 소속사가 엇갈린 주장을 펼쳐 진실게임 양산을 벌이고 있다.


22일 봄 엔테테인먼트는 보도자료를 통해 "조여정의 이중계약은 전혀 사실이 아닙니다"라며 "조여정의 현 소속사인 디딤531(구 이야기 엔터테인먼트)과도 이 부분은 정확히 논의된 부분"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조여정 소속사 디딤531는 지난 10일 한국연예매니지먼트협회(이하 연매협)에 "현 소속사와 계약이 만료되지 않은 시점에서 봄 엔터테인먼트가 조여정에게 접근해 일을 시작했다"며 진정서를 제출했다.


조여정 소속사 측은 조여정과 계약이 올해 12월16일까지인데 봄엔터테인먼트가 지난 4월부터 조여정과 접촉을 시작하며 부산영화제 시점부터 조여정 일을 이관 받고 싶다고 해왔다고 주장했다. 봄엔터테인먼트가 계약기간이 남아있는데도 불구하고 앞서 배우와 접촉을 한 것은 물론 계약기간이 만료되기 전부터 조여정 일을 대신하겠다고 해왔다는 것.


이와 관련해 연매협은 상벌조정윤리위원회를 열어 최근 봄엔터테인먼트 관계자를 불러 관련 내용을 물었다.


이런 가운데 조여정이 디딤531과 계약기간이 3개월 남은 지난 8월 봄엔터테인먼트와 계약을 체결했다며 이중계약을 맺었다는 소식이 전해진 것.


이와 관련해 봄 엔터테인먼트는 "지난 5월 구 이야기 엔터테인트가 현 디딤531로 바뀌는 과정 가운데 최윤배 대표가 전 소속 배우들에게 재계약 또는 다른 회사로의 이적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어 "배우 조여정 뿐 아니라 다른 모든 배우들이 5월 이후 시점부터 계약 관련 부분을 신중히 고민하고 결정하게 된 것"이라며 "이 과정 중 6월 이후부터 자연스럽게 본사뿐 아니라 타회사와도 접촉 및 계약 관련 논의가 이루어진 것이지, 계약 만료 4개월 전 물의를 일으키며 이중계약을 체결했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덧붙였다.


또 봄 엔터테인먼트는 "오히려 디딤531 측에서 먼저 이 부분을 이야기한 것으로 지금에 와서 이렇게 말을 바꾸는 이유를 전혀 알지 모르겠습니다. 이중계약 논란은 전혀 사실이 아님을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라고 밝혔다.


현재 연매협에선 계약 기간 만료 3개월 전까지 배우에게 다른 매니지먼트사에서 접촉을 하지 말라는 권고안을 제시해놓고 있다.


조여정 현 소속사는 조여정과 봄 엔터테인먼트가 지난 4월부터 접촉해 연매협 권고안을 여겼다고 주장하는 반면 새로운 소속사는 지난 5월 현 소속사가 먼저 조여정에게 다른 소속사와 이적할지 알아보라고 했다고 주장한 것.


양측의 주장이 전혀 달라 어느 한쪽은 거짓말을 하고 있는 셈이다.


또한 봄엔터테인먼트는 "디딤531 측은 연매협 상벌위원회를 지속 언급하며 이 문제의 본질을 흐리는 행위를 통해 본사에 불리한 입장만을 꾸며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봄 엔터테인먼트는 강지환 전 소속사인 에스플러스와 전혀 별개의 회사며, 구 이야기엔터테인먼트 황복용 대표가 연매협 상벌위 소속위원이라며 사실과 다른 일방적인 입장이 노출돼 진실이 왜곡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봄 엔터테인먼트가 이 같은 주장을 펼친 이유는 봄 엔터테인먼트 전신이 강지환과 계약 분쟁을 벌였던 에스플러스이기 때문이다. 당시 불미스런 일에 휘말렸던 에스플러스 대표는 연매협에서 영구제명됐으며, 에스플러스는 전 대표가 사임한 뒤 현 대표를 영입해 봄 엔터테인먼트로 바꾸어 쇄신을 꾀했다. 봄 엔터테인먼트 현 대표는 연매협 부회장이기도 하다.


이는 디딤531과도 비슷하다. 디딤531은 박시후와 관련한 잡음이 불거지자 회사이름을 이야기엔터테인먼트에서 새롭게 바꾸고 쇄신을 도모했다. 이 과정에서 퇴사한 황복용 대표가 현재 연매협 상벌위원회 소속이다.


즉 조여정을 새롭게 영입한 회사 대표는 현 연매협 부회장이며, 조여정을 놓치게 된 현 소속사 전임 대표가 연매협 상벌위원회 위원이라는 것이다.


양쪽의 엇갈린 주장이 계속 흘러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인 셈이다.


이 문제를 조정해야 할 연매협의 상벌조정윤리위원회는 시험대에 올랐다. 양쪽의 주장이 엇갈리는데다 이해 당사자들이 연매협에 깊이 관여돼 있기 때문이다.


이번 일과 관련해 조여정은 아직 상벌조정윤리위원회에 나와 정확한 입장을 표명하지는 않은 상태다. 양측의 주장이 엇갈리는 만큼 조여정의 주장에 따라 어느 쪽이든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보인다.


과연 조여정 소속사 이적문제가 어떻게 마무리될지, 연매협의 신뢰도 도마에 오르게 됐다.


주요 기사

    연예-영화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영화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