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유명 매체들이 넷플릭스를 통해 소개되는 한국 콘텐츠들을 집중 조명했다.
북미 지역 유명 온라인 매체 바이스(VICE)는 최근 아시아 전역에서 일고 있는 한국 드라마의 폭발적인 인기에 대해 집중 보도했다. 해당 매체는 올 한 해 넷플릭스를 통한 아시아권의 한국 콘텐츠 시청량이 크게 증가했다고 설명하며, 한국 콘텐츠가 세계적으로 확산될 수 있었던 주요한 배경으로 넷플릭스의 역할을 강조했다.
바이스는 지난해 대비 올해 아시아 지역의 한국 콘텐츠 시청량이 약 4배 증가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올해 1월, 2월과 비교해, 3월부터 7월간의 한국 콘텐츠 시청량이 아시아 전역에서 평균적으로 150%가량 상승했다고 밝히며 코로나19의 이동 제한 조치와 맞물려 다양한 콘텐츠를 시차 없이 즐길 수 있는 넷플릭스를 통해 한국 콘텐츠가 더욱 넓게 확산될 수 있었음을 시사했다. 더불어 아시아를 넘어 미국, 캐나다, 포르투갈, 스페인 등 북미와 유럽에서도 2.5배 증가한 시청량을 강조하며 서구권에서도 한국 콘텐츠가 하나의 인기 장르로서 인식되고 있음을 설명했다.
또한 바이스는 아카데미를 휩쓴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을 비롯해 방탄소년단의 빌보드 차트 석권 등 한류가 세계적인 문화 현상임을 짚는 한편 넷플릭스를 통해 영화는 물론 TV 시리즈로도 한류의 외연이 확장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넷플릭스로 아시아 5개국 이상에서 큰 인기를 얻었던 한국 드라마 10편으로 '킹덤' 시즌2와 '보건교사 안은영'을 비롯해 '사이코지만 괜찮아', '더 킹: 영원한 군주', '청춘기록', '스타트업', '부부의 세계' 등을 소개했다.
또한 미국의 유명 IT 전문 매체 ‘더 버지(The Verge)’도 올해를 장식한 10편의 콘텐츠 중 한국영화 '#살아있다'를 추천했다. '#살아있다'는 올해 넷플릭스를 통해 스트리밍된 비영어 콘텐츠 중 제작 국가 외 타지역에서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작품 4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한편 이 같은 한국 콘텐츠들의 성과에 힘입어 넷플릭스는 내년 한국을 비롯해 아시아 콘텐츠 투자액을 2배 가량 증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넷플릭스는 지난 2015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 콘텐츠 제작을 위해 약 7700억원을 투자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