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美매체 바이스·더 버지, 넷플릭스 韓콘텐츠 집중 조명

美매체 바이스·더 버지, 넷플릭스 韓콘텐츠 집중 조명

발행 :

전형화 기자
미국 매체 바이스가 '킹덤2'와 '사이코지만 괜찮아' 등 한국 콘텐츠들이 넷플릭스를 통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집중보도했다.
미국 매체 바이스가 '킹덤2'와 '사이코지만 괜찮아' 등 한국 콘텐츠들이 넷플릭스를 통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집중보도했다.

미국 유명 매체들이 넷플릭스를 통해 소개되는 한국 콘텐츠들을 집중 조명했다.


북미 지역 유명 온라인 매체 바이스(VICE)는 최근 아시아 전역에서 일고 있는 한국 드라마의 폭발적인 인기에 대해 집중 보도했다. 해당 매체는 올 한 해 넷플릭스를 통한 아시아권의 한국 콘텐츠 시청량이 크게 증가했다고 설명하며, 한국 콘텐츠가 세계적으로 확산될 수 있었던 주요한 배경으로 넷플릭스의 역할을 강조했다.


바이스는 지난해 대비 올해 아시아 지역의 한국 콘텐츠 시청량이 약 4배 증가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올해 1월, 2월과 비교해, 3월부터 7월간의 한국 콘텐츠 시청량이 아시아 전역에서 평균적으로 150%가량 상승했다고 밝히며 코로나19의 이동 제한 조치와 맞물려 다양한 콘텐츠를 시차 없이 즐길 수 있는 넷플릭스를 통해 한국 콘텐츠가 더욱 넓게 확산될 수 있었음을 시사했다. 더불어 아시아를 넘어 미국, 캐나다, 포르투갈, 스페인 등 북미와 유럽에서도 2.5배 증가한 시청량을 강조하며 서구권에서도 한국 콘텐츠가 하나의 인기 장르로서 인식되고 있음을 설명했다.


또한 바이스는 아카데미를 휩쓴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을 비롯해 방탄소년단의 빌보드 차트 석권 등 한류가 세계적인 문화 현상임을 짚는 한편 넷플릭스를 통해 영화는 물론 TV 시리즈로도 한류의 외연이 확장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넷플릭스로 아시아 5개국 이상에서 큰 인기를 얻었던 한국 드라마 10편으로 '킹덤' 시즌2와 '보건교사 안은영'을 비롯해 '사이코지만 괜찮아', '더 킹: 영원한 군주', '청춘기록', '스타트업', '부부의 세계' 등을 소개했다.


또한 미국의 유명 IT 전문 매체 ‘더 버지(The Verge)’도 올해를 장식한 10편의 콘텐츠 중 한국영화 '#살아있다'를 추천했다. '#살아있다'는 올해 넷플릭스를 통해 스트리밍된 비영어 콘텐츠 중 제작 국가 외 타지역에서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작품 4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한편 이 같은 한국 콘텐츠들의 성과에 힘입어 넷플릭스는 내년 한국을 비롯해 아시아 콘텐츠 투자액을 2배 가량 증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넷플릭스는 지난 2015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 콘텐츠 제작을 위해 약 7700억원을 투자했다.


추천 기사

    연예-영화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영화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