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故 김용만, 사망 1주기..아내와 사별 후 한달만 비보

故 김용만, 사망 1주기..아내와 사별 후 한달만 비보

발행 :
최혜진 기자
고 김용만/사진=KBS

가수 고(故) 김용만이 세상을 떠난 지 1년이 지났다.


고 김용만은 지난 2024년 9월 27일 자택에서 별세했다. 향년 89세.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고인은 사망 한 달 전 아내를 먼저 떠나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고인은 1953년 가수 활동을 시작해 '남원의 애수', '효녀 심청', '청춘의 꿈', '삼등인생', '생일 없는 소년' 등을 발표했다.


처음에는 일반 대중가요로 데뷔했지만, 이후 우리 가락을 접목한 민요와 만요(漫謠·희극적인 풍자곡) 등으로영역을 넓혔다. 이에 '민요 가수', '만요 가수'로 이름을 알렸다.


싱어송라이터가 드물었던 1950년대, 고 김용만은 직접 작사·작곡을 하며 음악에 대한 열정을 보여줬다. 또한 가수 백야성과 콤비를 이뤄 그의 작곡가로도 활동했다. 고인은 백야성의 곡 '잘 있거라 부산항', '항구의 영번지', '못난 내 청춘', '마도로스 도돔바' 등을 작곡했다. 두 사람은 '김군 백군'이란 듀엣곡을 선보이기도 했다.


고 김용만은 '회전의자'·'적자인생'·'토정비결', '무적자'·'꿩 먹고 알 먹고' 등의 OST도 발표하며 다재다능함을 드러냈다.


고인의 비보를 접한 박성서 평론가는 "구수한 입담과 흥이 넘치는 노래로, 만년에도 여전히 활발하게 무대에 올랐던 원로 가수 김용만 선생님"이라며 "늘 이웃집 아저씨처럼 소탈하고 넉넉한 그였지만 한 달 전에 부인을 먼저 보내고 쓸쓸한 날을 보내던 중이었다. 신랄한 세태 풍자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정이 느껴질 정도로 매우 친근하고 서민적이었던 가수 김용만 선생님의 명복을 빈다"는 애도의 뜻을 전했다.


추천 기사

연예-K-POP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K-POP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