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는 문화·체육·관광 분야 전문기관들(한국문화정보원,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관광공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콘텐츠진흥원)과 공동으로 18일 서울드래곤시티(서울 용산구)에서 '2025 문화체육관광 인공지능(AI)·디지털혁신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이한 이번 행사에서는 '디지털이 바꾸는 문화 일상, 인공지능(AI)이 이끄는 혁신'을 주제로 문화·체육·관광 각 분야의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AI) 기반 혁신 사례를 공유하고, 모두가 함께 누리는 디지털 문화 생태계의 발전 방향을 논의한다. 개회식과 '2025 문화 디지털혁신 및 데이터 활용 공모전' 시상식, 기조연설, 문화․체육․관광 분야 전문가 토론 등을 진행하고 별도 행사장에서는 공모전 수상작과 각 기관의 대표 혁신 사례를 소개하는 체험관도 운영한다.
지난 6월 2일부터 7월 18일까지 진행한 공모전에서는 총 223개 팀이 참여한 가운데 심사를 거쳐 총 17개 팀(대상 5점, 우수상 5점, 장려상 5점, AI특별상 2점)을 수상자로 선정했다. 이 중 대상 5개 팀에는 문체부 장관상을 수여하고 수상작의 혁신 사례를 포럼 참석자들과 공유한다.
'우수사례 대상'은 ▶'케이 인 마이핸즈'(루카스에듀테인먼트) ▶국악기 가상악기 '조선시리즈'(김길한), '아이디어 대상'은 ▶'인공지능 음악 성분 조합 검색서비스'(케이저) ▶'발달 지연 스크리닝 및 케어솔루션'(플라트), '데이터분석 대상'은 ▶'케이-소설 번역 시장 의사결정 지원 플랫폼'(폭싹 번역했수다)이 받는다.
이번 포럼의 기조연설은 서울대 지능정보융합학과 이교구 교수가 맡는다. 이교구 교수는 인공지능 시대에 목소리 인공지능(AI)이 새로운 창작과 소통의 수단으로 진화해 가는 과정과 최신 기술 혁신부터 윤리적 고려 사항, 목소리로 경험을 만들어 가는 미래의 창조적 가능성까지 탐색할 예정이다.
이어 법·제도, 체육·관광, 예술·콘텐츠 등 3개 분야에서 인공지능 관련 6개 주제에 대한 전문가 토론을 진행한다. ▶법·제도 분야에서는 문화데이터 활용 사례와 정책 방향을 논의하고, 오픈소스 기반 인공지능 기술과 저작권 제도의 조화를 모색한다. ▶체육·관광 분야에서는 스포츠 기술(테크)을 활용한 국민 건강관리와 경기력 향상 사례, 인공지능 여행비서·실시간 번역 등 체육과 관광산업의 혁신 서비스 사례를 발표한다. ▶예술·콘텐츠 분야에서는 인공지능과의 예술창작 협업과 새로운 창작 방식을 논의하고, 방송·음악 등 다양한 콘텐츠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사례를 소개한다.
별도로 마련한 체험관에서는 ▶디지털 암벽 등반과 실내 사이클링, 나만의 인공지능(AI) 향기 만들기 등 인공지능(AI)·디지털을 체험하고 ▶크리에이티브멋의 '프로토 홀로그램'과 클라우디오의 '국악 가상악기-조선시리즈' 등 공모전 수상작과 오픈소스 공유·공공저작물 등을 전시로 만나볼 수 있다.
이번 행사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공식 누리집과 문화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정훈 문체부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포럼은 디지털 기술, 특히 인공지능이 우리 일상의 변화를 이끄는 현장과 해법을 함께 공유하며 나아가 문화산업의 미래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라며 "문체부는 첨단기술을 통해 국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넓히고, 더욱 많은 국민이 혁신의 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정책적,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