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한국야구 역사가 한곳에? 야구박물관 자료수집 활발

한국야구 역사가 한곳에? 야구박물관 자료수집 활발

발행 :

김우종 기자
구수갑 고문이 기증한 대나무 배트(접합방식)와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사용했던 롤링스 시합구. (사진=KBO 제공)
구수갑 고문이 기증한 대나무 배트(접합방식)와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사용했던 롤링스 시합구. (사진=KBO 제공)


한국야구위원회(KBO)와 대한야구협회(KBA)는 공동으로 야구박물관 자료수집위원회를 구성해 추후 건립 예정인 야구박물관에 전시될 소중한 사료 2,200여 점을 수집했다. 자료수집위원회는 수집된 자료를 모아 지난 12월 설립된 KBO 아카이브 센터에 보관해 DB구축 작업을 시작했다.


2월 말까지 기증된 주요 사료에는 1940~50년대 실업야구에서 맹활약하고 1971년 제9회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 감독을 역임한 故 김영조 씨의 1954년 제1회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 출전 메달과 트로피 등이 있다. 또 故 김영조 씨의 첫 제자인 이용재 씨가 1940년대 스파이크를 기증했으며 마산(현 창원)야구를 대표하는 김성길 씨가 1950년대 스파이크를 기증했다.


대구시체육회 구수갑 고문은 1970년대 알루미늄 배트 도입 당시 말로만 전해지던 대나무 배트(접합방식)와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사용했던 롤링스 시합구를 기증했다. 1963년부터 대한야구협회 심판과 국제대회 심판으로 활동한 故 민준기 씨의 1950~80년대 각종 대회 기념품 및 1960년대부터 소장해 온 심판 장비, 심판 교재, 서류 등 총 460여 점도 수집위원회에 전달됐다.


故 김영조 씨의 1954년 제1회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 출전 메달 (사진=KBO 제공)
故 김영조 씨의 1954년 제1회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 출전 메달 (사진=KBO 제공)


현 최고령(96세) 야구 원로이며 제1회 청룡기야구대회에 대전중(현 대전고)감독으로 출전했던 송재옥 씨는 1970년대부터 모은 스크랩북 약 700여 권을 전달했으며, 대전 원로 야구인 오금복씨는 1967년 제10회 이영민 타격상 상장을 기증했다.


1958년 고교 최초 퍼펙트게임을 기록했던 강남규 씨는 1958년 청룡기 최우수선수 트로피와 1982년 OB베어스 원년 기념품 등 약 70여 점을 기증했고, 현 한화이글스 김성한 수석코치는 선수시절 받았던 상패와 트로피 등 총 180점을 아낌없이 내놓았다.


1975년 재미 실업가인 홍윤희 씨가 제작한 ‘한국 성인야구 재건안(한국직업야구계획)’과 이용일 KBO 초대 사무총장이 기증한 ‘한국프로야구 창립계획서’는 현 한국프로야구의 밑거름이 된 중요한 사료이다.


故 민준기 씨가 1960년대부터 소장해 온 심판 장비들. (사진=KBO 제공)
故 민준기 씨가 1960년대부터 소장해 온 심판 장비들. (사진=KBO 제공)


한국일보사에서는 봉황기 우승기를, 휘문고등학교에서는 1940년대 4구락부 야구대회 우승기와 1970년대 8.15 경축 전국중학야구대회 우승기를 야구박물관을 위해 기증했다. 또 국가기록원이 소장한 1953년부터의 사진 약 1200여 점 및 동영상 60여 점도 야구박물관에 전시가 가능하도록 제공받았다.


이 밖에 여러 기관 및 개인 등 약 36 곳(2200여 점)에서 야구박물관에 전시될 야구자료를 기증을 받았다. 야구박물관 자료수집위원회에서는 앞으로도 관련기관 및 단체, 야구인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기증에 큰 기대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요 기사

스포츠-일반의 인기 급상승 뉴스

스포츠-일반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