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K리그도 사우디처럼 용병 더 필요한가' 전문가-선수 출신 온도 차 "세계적 추세지만... 국내 선수 경쟁력 약화" [공청회 현장]

'K리그도 사우디처럼 용병 더 필요한가' 전문가-선수 출신 온도 차 "세계적 추세지만... 국내 선수 경쟁력 약화" [공청회 현장]

발행 :

왕십리로=박재호 기자
2025 K리그 주요 현안 공청회가 23일 오후 2시 서울시 성동구 한양대학교 경영관 SKT홀에서 개최됐다.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2025 K리그 주요 현안 공청회가 23일 오후 2시 서울시 성동구 한양대학교 경영관 SKT홀에서 개최됐다.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최순호 수원FC 단장.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최순호 수원FC 단장.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K리그 외국인 선수 쿼터 제도에 대해 축구인들이 머리를 맞댔고, 여러 의견과 방안들이 쏟아졌다.


23일 오후 2시 서울시 성동구 한양대학교 경영관 SKT홀에서 '2025 K리그 주요 현안 공청회'를 개최했다.


최순호 수원FC 단장, 구창용 제주SK 대표, 유성한 FC서울 단장, 위원석 대한축구협회 소통위원장, 홍재민 기자, 김재성 K리그 TSG 위원, 김보경 FC안양 선수 등 축구계 전문가들이 패널로 참석했다.


이들은 ▲ K리그 외국인 선수 쿼터 제도 ▲ K리그1 적정 팀 수 및 리그 전체 디비전 구조 검토 등을 논의했다.


현재 K리그1 외국인 선수 쿼터가 최대 6명 보유-4명 출전이고, K리그2는 최대 5명 보유-4명 출전이다. 일각에선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번 시즌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ACLE)에 출전하는 아시아팀 중 출전 가능한 외국인 선수 쿼터는 K리그가 가장 적은 실정이다.


먼저 최순호 단장은 세계적 추세에 따라가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났다. "제도는 규모가 큰 구단이 유리하다. 규모가 크고 예산이 많은 구단이 좋은 선수를 많이 보유한다"고 말했다. 여기서 오는 불균형에 대해선 "홈그로운 제도를 강화하고, 2군 리그를 연습 경기 수준이 아닌 정식 경기 수준으로 끌어올릴 제도를 만들어서 작은 규모 구단도 경쟁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구창용 제주SK 대표.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구창용 제주SK 대표.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유성한 FC서울 단장.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유성한 FC서울 단장.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구창용 대표도 동의했다. 그는 "확대가 필요하다. 여러 유럽 클럽들과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는데 팀 발전을 위해선 선수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나눴다"고 제도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그러면서 "예전에 비해 구단이 좋은 실력을 가진 외국인 선수를 데리고 오기 어려워진 상황이다. 내년엔 외국인 골키퍼까지 허용되는데 세계 흐름을 위해 출전 수도 늘려야 한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다만 선수들 입장은 달랐다. 김보경은 "우리 안양의 경우 외국인 선수들의 활약 비중이 높다. 이들 출전 시간이 늘어난다면 국내 선수들이 뛰는 시간은 줄어들고 경쟁력도 떨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선수 출신인 김재성 위원도 "외국인 선수 보유 숫자를 늘린다고 경쟁력이 늘어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최근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등 유럽 빅리그 출신 선수들을 영입해 클럽월드컵 무대에서 성과를 내는 사우디아라비아 리그를 예로 들며 "사우디는 오히려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은 떨어졌다. 외국인 선수 숫자보다 감독의 역량, 구단 철학 등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재성 K리그 TSG 위원.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김재성 K리그 TSG 위원.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추천 기사

스포츠-축구의 인기 급상승 뉴스

스포츠-축구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