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정신과 전문의 "돈스파이크, ADHD약 때문에 마약 중독? 잘못된 발언"[스타이슈]

정신과 전문의 "돈스파이크, ADHD약 때문에 마약 중독? 잘못된 발언"[스타이슈]

발행 :

김노을 기자
작곡가 돈스파이크 /사진=스타뉴스
작곡가 돈스파이크 /사진=스타뉴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돈스파이크와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의 발언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지난 28일 유튜브 채널 '정신과의사 뇌부자들'에는 'ADHD약으로 마약 중독이 시작된다는 헛소리에 답을 드림'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게재됐다. 해당 채널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들이 직접 운영하고 있다.


공개된 영상에서 김지용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최근 한 유력 정치인이 ADHD에 대해 다소 오해가 있는, 잘못된 사실을 진실인 것처럼 얘기를 해서 많은 사람들이 영향을 받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해당 정치인이) '성적을 우선시하는 분위기 때문에 청소년들에게 ADHD 약을 권하는 어른들이 있다'고 발언했다. 이 말에는 저도 동의를 한다. 실제로 그런 경우가 있다. 그런데 'ADHD 약에는 마약 성분이 들어있어서 먹다보면 중독되고 남용하게 된다'는 발언은 근거 없는 발언이며 정말로 틀린 말"이라고 지적했다.


/사진=유튜브 채널 ‘정신과의사 뇌부자들’
/사진=유튜브 채널 ‘정신과의사 뇌부자들’

이어 "(해당 정치인이) 작곡가 돈스파이크를 언급하면서 '돈스파이크에게 어떻게 마약을 시작했냐고 물으니 ADHD 약에 중독돼서 필로폰까지 하게 됐다고 하더라. 이런 식으로 부모들이 아이에게 ADHD 약을, 마약을 권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근거가 없는 잘못된 발언"이라고 다시 한번 꼬집었다.


또 "단순히 근거가 없는 걸 넘어서 잘못된 발언이기 때문에 바로잡는다. 제가 그분을 공격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라 정신과 의사로서 공인이나 영향력 있는 인사의 근거 없는 발언이 환자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바로잡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지용 전문의는 "ADHD 약을 의료적 목적으로 정해진 용법대로 복용할 경우 마약 중독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매우 낮다. 그런데 이 근거 없는 주장에 대한 영향으로 현재 ADHD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이 걱정하기도 하고, 낙인을 우려해서 치료를 회피하기도 한다"고 우려했다.


김지용 전문의는 자신의 말에 대해 과학적인 근거를 대며 ADHD 치료제에 대한 설명을 이어갔다. 그는 "오히려 치료를 잘 받은 ADHD 환자들은 마약 중독 위험이 낮아진다. ADHD 아동이 치료받지 않고 자랐을 때 품행 문제들이 생기게 되고, 폭력성이 나타날 수 있고, 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실제로 높다"고 여러 연구 결과를 근거로 들며 강조했다.


/사진=유튜브 채널 ‘정신과의사 뇌부자들’
/사진=유튜브 채널 ‘정신과의사 뇌부자들’

앞서 현재 마약예방치유단체 '은구' 대표인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는 MBC '뉴스투데이'와 인터뷰에서 "성적을 우선시하는 분위기 때문에 청소년들에게 ADHD 약을 권하는 어른들이 있다. 그런데 이 약에는 마약 성분이 들어 있어서, 먹다 보면 중독되고 남용하게 된다"고 말했다.


또한 돈스파이크를 예로 들며 "어떻게 마약을 시작했냐고 물으니, ADHD 약에 중독돼서 필로폰까지 하게 됐다고 하더라. 이런 식으로 부모들이 아이에게 ADHD 약을, 마약을 권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대한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는 성명서를 내고 "근거 없는 발언"이라고 반박하며 "수십 년 간 연구와 대규모 분석에 따르면 ADHD 진단을 받고 의사의 처방에 따라 치료제를 복용한 환자들이 향후 불법 마약, 알코올, 담배 등 물질에 더 많이 노출된다는 근거는 없다. 오히려 일부 연구에선 적절한 치료가 향후 약물 남용 위험을 낮춘다는 보호 효과까지 보고된 바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위험은 약물이 아니라 치료받지 않은 ADHD 그 자체"라며 "치료받지 않을 경우 오히려 물질남용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돈스파이크는 2022년 9월 서울 강남의 한 호텔에서 마약 혐의로 체포됐다. 그는 9회에 걸쳐 4500만원 상당 필로폰을 매수하고, 공동투약 5회를 포함해 총 14회 투약 혐의로 대법원에서 징역 2년을 선고 받았다.


뿐만 아니라 2010년 대마초 흡연 혐의로 벌금 5000만원을, 같은 해 별건의 마약 혐의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사실도 뒤늦게 드러나 파장이 일었다.


주요 기사

연예-방송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방송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