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감히 故 김광석을?"..표절 논란 日 밴드, 결국 꼬리 내렸다[스타이슈]

"감히 故 김광석을?"..표절 논란 日 밴드, 결국 꼬리 내렸다[스타이슈]

발행 :

김노을 기자
/사진=슈퍼등산부 공식 유튜브

고(故) 김광석의 곡 '바람이 불어오는 곳'을 표절했다는 의혹을 받은 일본 인디 밴드 슈퍼등산부(ス-パ-登山部)가 버티기에 실패했다.


1일 슈퍼등산부는 "많은 분들께서 이번 곡이 김광석의 '바람이 불어오는 곳'(1994년)과 매우 흡사하다는 점을 지적해 주셨다. 저희가 배움이 부족하여 곡을 작곡할 때는 지적해 주신 곡을 알지 못하였으나 다수의 지적을 받고 나서 김광석과 '바람이 불어오는 곳'이 한국에 계신 여러분에게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를 깊이 깨달았다"고 밝혔다.


이어 "여러분께서 지적해 주신 점을 진지하게 받아들여 '산보'의 음원을 순차적으로 철회함과 동시에 관련 영상의 공개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유튜브 영상은 사과문 및 공지문 공개 24시간 후 비공개로 전환하겠다. 또한 등산 어플과의 콜라보레이션 기획으로, 여러분으로부터 모집한 영상으로 제작 예정이었던 뮤직비디오에 관해서도 제작을 중단할 것"이라고 해당 곡과 관련된 모든 활동 중단을 선언했다.


그러면서 "이번 일로 인해 불쾌함을 느끼셨을 여러분과 관계자 분들께 사과드리며, 심려를 끼쳐드린 팬분들께도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했다.


고 김광석 /사진=CJ ENM

슈퍼등산부는 지난 10일 신곡 '산보'(山步)를 발표했다. 그러나 발표 직후 해당 곡이 김광석의 '바람이 불어오는 곳'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1994년 발표된 '바람이 불어오는 곳'은 김광석의 마지막 정규앨범에 수록된 곡으로, MBC 프로그램 '세계는 넓다, 베낭메고 세계로'의 로고송으로도 사용돼 많은 이들에게 익숙한 노래다. 이후 제이레빗, 정은지, 이진아 등 후배 가수들이 리메이크하며 변함없는 사랑을 받고 있다.


멤버 오다 토모유키가 작사·작곡한 '산보'는 곡의 도입부, 주요 멜로디 등이 '바람이 불어오는 곳'과 매우 흡사했다. 심지어 어쿠스틱 기타 주법까지 유사성을 보였다.


논란이 일자 슈퍼등산부는 "저희의 곡 '산보'에 대해 많은 지적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여러분의 댓글을 보고 처음으로 김광석 님의 '바람이 불어오는 곳'을 들었고, 저희도 놀랄 만큼 부분적으로 멜로디가 비슷하다고 느꼈다"고 입장을 내놨다.


/사진=슈퍼등산부 공식 유튜브

이들은 "한국에서 굉장히 유명한 곡이라고 하나 부끄럽게도 제작 당시에는 미처 알지 못하였고, 산속을 걷는 이미지로 작곡한 멜로디가 부분적으로 비슷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유사한 곡을 발표해버린 사실에 대해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고의적인 표절이 아님을 주장했다.


이어 "이번 지적을 계기로 훌륭한 한국의 명곡을 알게 됐다"며 "음악에는 국경을 넘어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힘이 있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되는 계기가 됐다. 일본의 여러분은 물론 한국의 여러분들도 저희 음악을 따뜻한 마음으로 부디 받아들여 주시면 감사하겠다"고 전했다.


슈퍼등산부의 애매한 입장문에 결국 국내외 여론은 들끓었다. 특히 일부 누리꾼들은 슈퍼등산부 공식 채널 댓글창에 "감히 고 김광석 님을 건들 생각을 하다니, 상당히 잘못 건드렸다" "후폭풍 어떻게 감당하려고 표절 인정을 안 하냐" "도둑질 밴드" "표절해놓고 '놀랄 만큼 비슷했다'는 표현은 무슨 정신머리에서 나온 거냐" 등 댓글을 남기며 비판을 이어갔다.


한편 1996년 사망한 김광석은 '바람이 불어오는 곳'을 비롯해 '사랑했지만' '먼지가 되어' '거리에서' '서른 즈음에' 등 수많은 히트곡을 남겼다.


추천 기사

연예-방송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방송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