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인 타자 2명' 초강수→대실패, 키움 결국 교체 가닥... '푸이그냐, 카디네스냐' 그것이 문제로다

안호근 기자 / 입력 :
  • 글자크기조절
시범경기 때 나란히 서 있는 카디네스(왼쪽)과 푸이그. /사진=김진경 대기자
시범경기 때 나란히 서 있는 카디네스(왼쪽)과 푸이그. /사진=김진경 대기자
역대 단 4팀에 불과했다. 키움 히어로즈가 3할 미만의 승률을 걱정해야 하는 위기에 놓였다. KBO 유일 외국인 타자 2명 체제로 시작한 키움은 타자 한 명을 포기하고 새로운 외국인 투수를 데려오며 해법을 찾을 전망이다.

키움은 18일 현재 49경기를 치러 14승 35패, 승률 0.286으로 최하위에 머물고 있다. 9위 두산 베어스와 승차만 해도 7.5경기에 달한다. 공동 4위부터 9위까지 단 3경기 차에 불과한 혼돈의 접전 상황 속에서 키움 혼자 다른 의미의 독보적인 레이스를 펼치고 있다.


이대로 무너질 수는 없는 노릇이다. 3년 연속 최하위는 어쩔 수 없을지라도 2할대 승률은 1000만을 넘어 1100만, 1200만까지도 기대되는 프로야구 흥행 열기에 찬물은 끼얹을 수 있는 처참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마지막 2할대 승률팀은 무려 23년 전으로 시곗바늘을 돌려야 한다. 2002년 롯데 자이언츠가 기록한 0.265가 마지막 2할 승률이었다. 경영난으로 해체 직전이었던 1999년 쌍방울 레이더스(0.224), 해법을 찾지 못했던 1986년 빙그레 이글스(0.290)가 있었고 프로야구 출범 원년 가장 뒤늦게 창단해 선수 수급에 문제를 겪었던 삼미 슈퍼스타즈가 유일 1할대 승률(0.188) 팀이었다.

마운드와 타격이 문제다. 즉 잘 되는 게 없다는 뜻이다. 팀 타율은 0.227, OPS(출루율+장타율) 0.635 모두 최하위이고 팀 평균자책점(ERA) 또한 6.03으로 가장 뒤처져 있다.


야시엘 푸이그.
야시엘 푸이그.
특히나 타격 문제는 어느 정도 예견된 부분이었다. 이정후(샌프란시스코)와 김혜성(LA 다저스)라는 슈퍼스타를 2년 연속 잃으며 타선이 헐거워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키움이 선택한 게 외국인 타자를 2명으로 구성하는 고육지책이었다. 그럼에도 이런 결과가 일어나고 있기에 이젠 변화를 꾀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100만 달러를 보장하며 다시 데려온 야시엘 푸이그(35)는 40경기에서 타율 0.212(156타수 33안타) 6홈런 20타점 17득점, 출루율 0.285, 장타율 0.340, OPS 0.625에 그치고 있고 옵션 포함 총액 60만 달러에 영입한 루벤 카디네스(28) 또한 42경기에서 타율 0.224(147타수 33안타) 4홈런 23타점 19득점, 출루율 0.341, 장타율 0.354, OPS 0.695로 국내 선수여도 만족하지 못할 수치를 써나가고 있다.

야구는 투수 놀음이라는 말이 있고 그 중에서도 선발 투수의 역할이 매우 큰데 키움은 선발승이 단 10승에 그치고 있다. 현재 다승 공동 1위 코디 폰세(한화)가 홀로 8승을 거두고 있다는 걸 고려하면 외국인 투수를 한 명 더 추가하는 게 키움에 훨씬 더 많은 이득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결론을 쉽게 도출해볼 수 있다.

이날 더블헤더 경기에 앞서 한 매체에선 키움이 외국인 타자 한 명을 교체하고 두산 베어스에서 뛰었던 20승을 거두기도 했던 검증된 투수 라울 알칸타라(33)를 데려올 것이라는 보도를 했다. 스타뉴스 취재 결과 야구계 한 관계자는 알칸타라의 한국행에 대해 "키움의 후보군에 알칸타라가 있는 건 맞다. 구단 내부에서도 현 상황에 변화를 주기 위해 타자 1명을 투수로 바꾸려고 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다만 조만간 교체가 결정될 것이라고 귀띔하면서도 "푸이그와 카디네스 중 누구를 바꿀지는 결정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누가 더 낫다고 평가하기가 어려울 만큼 극심한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둘이기에 고민이 클 수밖에 없다. 푸이그가 17일 NC 다이노스와 더블헤더 2차전에서 홈런 포함 5타수 2안타로 활약하기도 했지만 18일 NC전에선 다시 4타수 무안타로 침묵하며 반전을 써내지 못했다. 카디네스는 4경기 연속 무안타로 침묵하며 최근 10경기 타율 0.057(35타수 1안타)로 반등의 계기를 마련치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나이와 수비 기여, 태도는 물론이고 구단 내의 전반적인 평가, 그리고 굳이 수치적으로 따져보더라도 카디네스가 근소하게 앞서 보이는 건 사실이지만 최근 너무 큰 슬럼프에 빠져 있어 결정이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과연 키움은 어떤 결정에 도달할지 관심이 쏠린다.

루벤 카디네스.
루벤 카디네스.
기자 프로필
안호근 | oranc317@mtstarnews.com

스포츠의 감동을 전하겠습니다.

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베스트클릭

더보기
starpoll 배너 google play app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