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프린스'·'셜록', 웹드라마+공중파+웹툰의 콜라보는?(종합)

'프린스'·'셜록', 웹드라마+공중파+웹툰의 콜라보는?(종합)

발행 :

안이슬 기자
인피니트 성규, AOA 유나, 배우 주종혁, 신주환(왼쪽위부터 시계방향)/사진=스타뉴스
인피니트 성규, AOA 유나, 배우 주종혁, 신주환(왼쪽위부터 시계방향)/사진=스타뉴스


공영방송과 웹툰, 신흥제작사가 함께하는 웹드라마 '프린스의 왕자', '연애탐정 셜록K'가 웹드라마 시장의 새 가능성을 열까?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 신관 국제회의실에서 KBS 웹드라마 '프린스의 왕자', '연애탐정 셜록K' 기자간담회가 진행됐다.


이날 기자간담회에는 KBS 고찬수 PD와 '연애탐정 셜록K'의 연출을 맡은 김아론 감독, 인피니트 성규, 주종혁, '프린스의 왕자'를 연출하는 신주환, 주인공으로 낙점 된 FT아일랜드 최종훈, AOA 유나, 임윤호가 참석했다.


'프린스의 왕자'와 '연애탐정 셜록K'는 기존의 웹드라마와는 달리 제작 후 KBS 2TV를 통해 전파를 탈 예정. KBS는 기존 드라마 제작시스템과는 달리 제작사에 더욱 큰 권한을 주고 함께 수익모델을 찾을 계획이다.


고찬수 PD는 "KBS가 전권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외주제작사에서 작업한 것을 KBS의 브랜드를 통해 도와준다고 생각하면 된다"며 "실질적으로 기존 드라마가 해온 것과는 전혀 다른 접근을 하고 있다. KBS가 웹드라마에 진출하는 것이 아니라 웹드라마 제작사와 수익모델을 함께 찾는 파트너가 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프린스의 왕자'는 게임에 빠진 여동생을 둔 열혈 오빠의 이야기를 담은 동명 웹툰을 원작으로 한 작품. FT아일랜드의 최종훈과 배우 임윤호, AOA의 유나가 출연하고 배우 신주환이 연출을 맡는다.


영화에 이어 웹드라마 연출에 도전하게 된 신주환은 기대감과 부담감을 함께 드러냈다.


신주환은 "학교에 다닐 때 만든 독립영화가 뜻밖에 좋은 기회를 얻어서 웹드라마 연출이라는 생각도 못한 좋은 자리에 오게 됐다"며 "원작이 굉장히 재미있고 인기가 많은 웹툰이라 관심을 가지는 분들도 많으셔서 어깨가 무겁다. 관심 가져주시고 응원해주시면 좋은 작품으로 보답하고 싶다"고 말했다.


주인공 박시현 역을 맡은 최종훈도 기대감을 표현했다. 그는 "'프린스의 왕자'는 원작 팬들도 많고 관심이 쏠려 있더라. 부담도 되지만 그래도 열심히 해서 좋은 작품을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프린스의 왕자'는 엄태웅, 주원 등이 소속된 심엔터테인먼트와 웹툰제작사 와이랩이 함께 제작하는 작품. 신주환은 "원작이 있는 작품은 양날의 검"이라며 웹툰 원작 작품을 연출하는데 있어 유의하고 있는 부분을 설명했다.


그는 "원작 팬들 뿐 아니라 작품을 새로 접하는 분들도 만족시켜드릴 수 있는 작품이 되어야 하는데 그러려면 싱크로율을 빼놓을 수 없다. 제가 봤을 때 싱크로율 면에서는 승산이 있다고 본다"며 "원작자분과 같이 시나리오 작업을 하면서 원작 팬들에게 실망을 주지 않을 선에서 새 팬들도 웃을 수 있을 만한 부분을 만들어놨기 때문에 기대하셔도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애탐정 셜록K'는 남장여자인 연애심리 프로파일러 셜록K가 재벌 2세 성규의 의뢰를 맡게 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 셜록 K역에는 한채영이 물망에 올라있고, 재벌 2세 성규 역은 인피니트의 성규가 맡았다. 그룹 파란 출신 주종혁도 종혁 역으로 출연한다.


이날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성규는 "재벌 2세 역할인데 실제로는 없이 자랐다"며 "재벌 2세를 제가 어떻게 표현할지, 단기간에 돈을 많이 벌수도 없는 것이라 고민이 많이 된다. 그래도 최선을 다해서 재벌 2세가 되도록 하겠다"고 너스레를 떨었다.


화려한 캐스팅과 KBS가 만났지만 웹드라마의 태생적 한계인 수익 모델 부분에 대한 우려도 있을 터. 고찬수 PD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가능성을 피력했다.


고찬수 PD는 스타뉴스에 "웹드라마는 주로 협찬을 통해 제작비를 충당하기 때문에 제작 전 제작비는 확보가 되지만 이후의 수익에 대해서는 방송 드라마보다 훨씬 적은 수익을 낸다"며 "KBS가 방송을 하면 수익이 조금 더 상향될 것이고, 100% 협찬이 아니더라도 제작이 가능한 선순환 구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요 기사

    연예-방송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방송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