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업앤다운] 노이즈로 업된 '옥자' vs 불명예 퇴진 영진위원장

[업앤다운] 노이즈로 업된 '옥자' vs 불명예 퇴진 영진위원장

발행 :

전형화 기자
옥자 스틸컷, 김세훈 영진위원장
옥자 스틸컷, 김세훈 영진위원장


▲△


업이라고 해야 될지, 다운이라고 해야 될지, 그래도 전 세계적인 화제를 모으고 있으니 업이 맞을 것 같다. 봉준호 감독의 '옥자'가 제70회 칸국제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된 이래 화제가 끊이지 않고 있다. '옥자'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인 넷플릭스의 오리지널 영화. 그런 '옥자'가 세계 최고 권위의 칸국제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자 세계 영화계 시선이 쏠렸다. 스크린이 아닌 영화의 새로운 플랫폼이 도래한 상징처럼 여겨졌기 때문.


하지만 이후 프랑스 극장협회가 극장에서 상영된 뒤 3년이 지난 영화여야 스트리밍 서비스를 할 수 있다는 프랑스 법을 위반할 소지가 있다며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하는 등 '옥자' 초청에 강한 불만을 토로했다. '옥자' 칸 경쟁 초청이 무산될 수 있다는 루머까지 돌았다. 이에 칸영화제 측은 루머를 일축하며, 올해는 그대로 가지만 내년에는 프랑스 극장에서 상영되는 영화만 경쟁부문에 초청될 수 있다는 새로운 규칙을 마련했다고 진화에 나서야 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이번에는 프랑스 영화위원회가 '옥자'의 프랑스 내 극장 제한 상영을 위해 신청한 비자 발급을 거절하기에 이르렀다. 칸영화제에서 상영되는 건 그렇다쳐도 프랑스 극장에서 상영되지 않는 한 프랑스에서 '옥자'를 스트리밍서비스로 선보일 수는 없다고 못을 받은 것이다.


프랑스가 미국 문화에 거부감이 강한 건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자국 시장 보호에, 영화는 스크린에서 상영되는 걸 원칙으로 한다는 문화적인 접근도 포함돼 있는 듯. 이래저래 '옥자'는 올해 칸국제영화제 태풍의 눈이 될 것 같다.



▽▼


김세훈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이 대선을 하루 앞둔 8일 사직서를 제출했다. 사표가 아직 수리되지는 않아 당분간 영진위원장 업무는 계속 볼 듯 하다. 다만 김세훈 위원장은 감사원의 감사를 받았기에, 결과 여부에 따라 사직이 아닌 해임이 될 수도 있다. 뭐가 됐든 MB정부부터 박근혜 정부까지 강한섭, 조희문 위원장에 이어 세 번째로 불명예스럽게 퇴임하는 영진위원장이 됐다.


김세훈 위원장은 2014년 12월부터 영진위를 이끌어왔다. 전임 김의석 위원장이 그해 3월에 임기가 끝났는데도 새로운 영진위원장이 임명되지 않아 12월까지 대행을 해야 했다. 당초 영진위원장으로 사실상 내정된 인물이 있었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과 갈등을 빚었던 유진룡 문체부 전 장관 쪽 인사라 보류됐다는 풍문이 파다했다.


이후 애니메이션을 전공한 세종대 만화애니메이션학과 교수 출신인 김세훈 위원장이 영진위원장에 내정되자 시작부터 잡음이 일었다. 정권의 입맛에 맞춰 영화 문외한을 영진위원장에 앉힌 게 아니냐는 지적이 뒤따랐다. 김세훈 위원장은 이런 영화계 시선을 의식해 초기에는 적극적으로 업무 파악에 나섰다. 영화제 출품작 사전 검열 시도 논란, 예술영화지원사업 편파 지원 시비 등 김 위원장 임기 초반에 불거진 여러 문제들은 전임 위원장 시절 집행을 미뤘던 일들이 한 번에 몰리면서 빚어진 일들이라 그로선 억울한 측면도 있다.


하지만 부산국제영화제 파행, 블랙리스트 논란 등은 김 위원장이 본격적으로 업무를 시작하면서 벌어진 일들이라 그의 책임을 피할 수는 없었다. 그가 임명한 사무국장의 전횡은 두고두고 발목을 잡았다. 결국 문제의 사무국장은 국무총리실 암행감사로 비위가 적발되기도 했다. 지난해 12월 영화인 직능 단체들이 업무추진비 부적정 집행에 대해 업무상 횡령 혐의로 김 위원장과 사무국장 등을 고발해 비위 사실이 드러난 사무국장은 해임됐다. 지난 2월에는 문화계 블랙리스트 사태에 일조했다며 영화인 1052명이 성명을 내고 김 위원장의 사퇴 및 구속 수사를 촉구하기도 했다.


김세훈 위원장은 영진위 내부 게시판에 올린 사퇴의 변에서 "우리 영화계에 불합리한 일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끝까지 지켜내지 못한 점에 대해 영화진흥위원회 임직원을 대표하여 국민과 영화인께 진심으로 사과를 드리며, 위원장으로서 책임을 통감하고 자리에서 물러나고자 합니다"라고 적었다. 이어 "돌이켜보면, 부당한 요구에 우리 영화계가 피해를 입지 않도록 설명하고 법률적, 행정적 근거도 보여주며 나름의 최선을 다했으나 결과적으로는 많이 부족했음을 느낍니다"라고 덧붙였다.


부디 다음 영진위원장은 더 이상 불명예스런 퇴진은 없기를.


주요 기사

    연예-영화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영화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