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정지영 감독, '부러진 화살' '블랙머니' 작가에 횡령 혐의로 고발

정지영 감독, '부러진 화살' '블랙머니' 작가에 횡령 혐의로 고발

발행 :

전형화 기자
정지영 감독이 횡령 혐의로 고발당했다./사진=머니투데이 스타뉴스
정지영 감독이 횡령 혐의로 고발당했다./사진=머니투데이 스타뉴스

영화 '부러진 화살' '남영동1985' 등을 연출한 정지영 감독과 제작사가 스태프들 인건비를 제대로 지급하지 않고 영화진흥위원회로부터 받은 보조금을 횡령한 혐의로 해당 영화 시나리오를 쓴 작가에게 고발당했다.


24일 굿로이어스 공익제보센터 양태정 변호사는 공익제보자인 시나리오 작가 한현근씨를 대리해 '부러진 화살' '남영동 1985' 정지영 감독 및 제작사 아우라픽처스에 대하여 업무상 횡령, 사기 및 보조금법 위반 혐의로 서울서부지방검찰청에 고발장을 제출한다고 밝혔다.


한 작가는 이날 스타뉴스에 "서부지검에 직접 고발장을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 변호사는 정지영 감독 등이 2011년 영화산업의 안정적 제작환경 조성 및 영화 스태프 처우개선을 목적으로 영진위에서 '부러진 화살' 제작사 아우라픽처스에 지급한 지원금을 스태프 통장에 입금했다가 다시 영화 프로듀서 계좌로 되돌려 받는 방식으로 횡령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당시 피해 스태프는 최대 1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2012년 '남영동 1985' 제작 과정에서도 일부 스태프에게 지급한 급여 등을 제작사 대표 계좌로 되돌려 받는 방식으로 횡령했다고 덧붙였다.


또 양 변호사는 아우라픽처스는 정지영 감독의 아들 정모씨가 대표이사, 정 감독의 배우자가 감사를 맡고 있는 가족회사로 정 감독이 실질적인 경영권과 결정권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양 변호사는 "영진위 보조금 회수 방식으로 볼 때 영진위와의 지원금 약정 단계에서부터 스태프에게 지급되어야 할 급여를 가로챌 의사를 가지고 영진위를 기망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또한 이런 식의 편취행위는 업무상 횡령 및 보조금법 위반에도 해당될 수 있다"고 밝혔다.


양 변호사가 공익 제보자라고 밝힌 한현근 작가는 '부러진 화살' '블랙머니' 각본을 쓰고 '부러진 화살'을 공동제작하는 등 정지영 감독과 오랜 세월 영화 작업을 같이 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발을 한 데 대해 한 작가는 "정 감독은 제작자로서 오랜 시간 동안 스태프들을 혹사시키고 임금을 착취하는 일을 반복해왔다. 겉으로는 사회불의에 맞서는 영화를 만들어 한국영화계와 후배들의 존경과 사랑을 한 몸에 받으면서도 실제로는 돈 욕심에 불의한 행위를 일삼는 것을 묵과할 수 없었으며, 정 감독이 자신의 위력을 이용하여 상습적으로 갑질하는 것을 이제라도 제지시키기 위해서였다"고 밝혔다.


이어 "무려 10년 가까이 지난 일인데 왜 그때는 침묵하다가 이제 와서 고발하느냐고 물을 사람도 있을 것이다. 정 감독을 선배 영화인으로서, 한 사람의 영화감독으로서 좋아했다"며 "그래서 같이 더 많은 좋은 영화를 만들기 위해 믿고 기다리며 그가 변화되기를 기다렸다. 하지만 더 이상 정 감독의 횡포를 좌시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언젠가는 폭로될 정 감독의 위선으로 인해 내가 쓴 시나리오로 만들어진 영화의 진정성조차 의심받게 되는 불명예를 참을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


또 한 작가는 '부러진 화살' '남영동 1985' 당시 예상을 뛰어넘는 성공으로 정 감독과 아우라픽처스가 수십억원을 벌었지만 정작 함께 고생했던 스태프와 각본가 등 일부는 급여조차 제대로 지급받지 못하는 문제가 계속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한 작가는 한국영화의 건강한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정 감독 부자의 그간의 비위들을 막고, 한국영화계의 현재와 미래의 스태프들이 더 이상 구시대적 갑질의 피해를 당하지 않는 공정한 환경이 조성되기를 바라면서 이 사건 고발을 진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부러진 화살'의 각본은 자신이 혼자 작성하였는데, 당시 정 감독의 강요로 어쩔 수 없이 정 감독을 공동 각본자로 등록할 수밖에 없었다. 영화는 이미 개봉되었지만 개봉 후에도 잘못된 크레딧을 바로 잡아 바람직한 선례를 남기고자 하며, 이러한 문제제기가 한국영화계의 발전과 스태프들의 처우개선에 도움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양 변호사는 "그간 한국영화계에 잔존해 온 스태프 임금 체불, 처우 개선 다양한 문제들이 이번 사건을 계기로 다시 한 번 재조명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등 영화산업 노동자들과 연대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며 사기관의 엄중한 수사를 촉구했다.


한편 정지영 감독은 '남부군' '하얀 전쟁' '부러진 화살' '남영동 1985' '블랙머니' 등 굵직한 사회적 이슈를 다룬 영화들을 주로 연출했다. 2016년부터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조직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현재 삼례 나라슈퍼 사건을 바탕으로 한 영화 '소년들'을 찍고 있다.


스타뉴스는 정지영 감독에게 한현근 작가의 주장에 대해 입장을 듣기 위해 여러 차례 연락했으나 답변을 듣지 못했다.


주요 기사

    연예-영화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영화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