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서울대작전', 밟았다! 쾌감 향한 '풀액셀' [김나연의 사선]

'서울대작전', 밟았다! 쾌감 향한 '풀액셀' [김나연의 사선]

발행 :

김나연 기자

[리뷰] '서울대작전'

사진
서울대작전 / 사진=넷플릭스
서울대작전 / 사진=넷플릭스

눈이 즐겁고, 귀는 흥겹다. 흥미로운 스토리에 녹아든 '힙트로'(힙합+레트로) 감성은 물론, 1988년 서울을 가로지르는 카체이싱 액션, 적재적소에 등장하는 음악까지. 쾌감과 짜릿함을 향해 '풀액셀'을 밟고 내달리는 '서울대작전'이다.


'서울대작전'은 1988년,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는 상계동 슈프림팀이 거부할 수 없는 제안을 받고 VIP 비자금 수사 작전에 투입되면서 벌어지는 카체이싱 액션 질주극. 전 세계인의 축제인 올림픽을 앞두고 뜨거운 환희와 열기로 가득했던 1988년의 서울의 모습을 고스란히 담아냈다.


재개발을 앞두고 낙후되었던 상계동을 주 무대로 필(Feel)과 소울(Soul)이 넘치는 문화의 본거지 미국을 동경하며, 자유와 멋이 가득한 아메리칸 드림을 외치는 상계동 슈프림팀 '빵꾸팸'이 있다. 특히 동욱(유아인 분)은 세계 최고의 드라이버를 꿈꾼다. 인생 목표 중 하나는 미국 자동차 경주대회 데이토나 레이스 출전이다.


그의 '아메리칸 드림'에 걸림돌은 전과 기록인데, 안 검사(오정세 분)에게 거부할 수 없는 제안을 받고 VIP 비자금 수사 작전에 투입된다. 동욱을 포함해 SPY 디제이 '우삼'(고경표 분), 인간 내비게이터 '복남'(이규형 분), 바이크 타는 변신의 귀재 '윤희'(박주현 분)와 상계동 맥가이버 '준기'(옹성우 분)까지 일명 '빵꾸팸'은 강 회장(문소리 분)의 운송책이 돼 직접 비자금을 운반하는 미션을 수행하게 된다.


서울대작전 / 사진=넷플릭스
서울대작전 / 사진=넷플릭스

'서울대작전'은 "액셀 한 번 밟으면 끝까지 간다"라는 유아인의 대사처럼, 시작부터 끝까지 경쾌하고 빠른 리듬의 주행을 이어간다. 1988년 서울에서 볼 수 있었던 올드카들이 대거 등장해 골목골목을 누비고 다니는 '빵꾸팸'의 화려한 드리프트와 질주, 적재적소에 플레이되는 비트 넘치는 음악들은 충분한 쾌감을 선사한다. 마치 내가 쫓고 쫓기는 추격전의 한 가운데 서 있는 것 같은 몰입감은 덤이다.


여기에 개성 넘치는 캐릭터들이 꼭 필요한 자동차의 부품처럼 적재적소에 위치해있다. 모든 부품이 제 자리에서 자신의 역할을 해줘야 자동차가 굴러가듯, '서울대작전'도 마찬가지다. 각기 다른 재능을 가진 인물들이 한데 모인 가운데 배우들이 풍성한 연기 앙상블을 선보인다.


특히 '빵꾸팸'의 리더 동욱 역의 유아인이 '그 시대의 청춘'을 대변한다. 꿈을 꾸지만, 미래는 생각대로 흘러가지 않고, 그러면서도 자부심과 깡을 가진 '리더'를 연기하는 유아인은 역시 대체 불가한 존재감을 뽐낸다. 유쾌함을 기반으로 한 '서울대작전'에 무게감을 얹어 밸런스를 맞추는 것 또한 유아인의 몫이고, 그가 가진 힘이다. 신학과 출신의 클럽 DJ 이자 스파이 임무를 맡게 되는 '우삼'으로 분한 고경표가 유아인과 함께 중심을 잡아 극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이어 이규형이 인간 내비게이터 '복남' 역을 맡아 충청도 사투리를 완벽하게 소화하며 구수한 매력을 뽐내고, '서울대작전'을 통해 첫 영화 주연에 나선 박주현, 옹성우도 에너지를 더하며 성공적인 첫 발걸음을 내디뎠다. 여기에 첫 연기에 도전한 송민호는 '새 발견'이라고 할 만하다. 그는 익숙하면서도, 신선한 독특한 매력을 뽐내며 신선함을 안겼다.


여기에 '빵꾸팸'에게 미션을 주는 '시작점'이 되는 오정세의 연기와 존재감 또한 명불허전이고, 문소리와 김성균의 카리스마는 '서울대작전'의 퀄리티를 한층 끌어올렸다. '서울대작전'은 전두환 비자금 사건이라는 실제 역사를 바탕으로, 이를 돕는 강인숙(문소리 분)과 이현균(김성균 분)까지, '악인'으로 구분될 수 있는 인물들을 다소 과장되게 표현하면서 풍자의 재미도 살린다.


이 과정에서 영화가 마냥 가벼워지지 않는 것은 전적으로 문소리와 김성균이라는 배우들의 힘이 컸다. 문소리는 겉으로는 여유롭고 쿨하지만, 자신의 계획이 비틀어지면 곧바로 돌변하는 극과 극의 모습을 완벽하게 표현해냈다. 전두환은 얼굴을 전면에 드러내지 않고, 목소리로만 등장하는데 우리가 흔히 아는 목소리가 아닌, 조금 비틀어진 대사 톤으로 연기한 백현진의 내공 또한 돋보인다.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인물이 등장하기 때문인지 각자의 서사가 빈약해 개개인의 이야기보다는 뭉쳤을 때 더 빛이 나고, 마지막에는 '임팩트'를 선사하려는 듯 급발진하는 구간이 있어 보다가 간혹 물음표를 띄울 수도 있다. 다만, '이 작품을 보는 내내 즐겁다'는 것에는 큰 이견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잘 만든 팝콘 무비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서울대작전'의 질주에 몸을 맡겨볼 만하다.


김나연 기자 ny0119@mtstarnews.com


주요 기사

연예-영화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영화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