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연상호, 2억 저예산의 기적..뒤틀린 '얼굴'의 불쾌함을 곱씹다 [김나연의 사선]

연상호, 2억 저예산의 기적..뒤틀린 '얼굴'의 불쾌함을 곱씹다 [김나연의 사선]

발행 :
김나연 기자

[편집자주] 영화·OTT를 보는 김나연 기자의 사적인 시선.

박정민 권해효 / 사진=영화 '얼굴' 스틸컷
박정민 권해효 / 사진=영화 '얼굴' 스틸컷

"영화 '얼굴'은 연상호 감독님에게 등 돌린 팬들이 다시 돌아올 절호의 기회다."


인간의 뒤틀린 내면을 조명하는 '얼굴'에 담은 명확한 메시지. 연상호 감독이 날 선 초창기 작품들이 연상되는 '얼굴'로 돌아왔다.


영화 '얼굴'은 앞을 못 보지만 전각 분야의 장인으로 거듭난 '임영규'와 살아가던 아들 '임동환'이 40년간 묻혀 있던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미스터리를 파헤치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


이 영화는 다큐멘터리를 촬영하는 전각 장인 '임영규'(권해효 분)의 모습으로 시작된다. '임영규'는 태어나서 아무것도 볼 수 없었던 시각장애인임에도 불구하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장을 만드는 장인으로 거듭났다. 그는 '기적'이라 불리기에 마땅하고, 아들인 '정동환'(박정민 분)도 아버지를 존경해 마지 않는다.


그러던 중 '정동환'에게 전화 한통이 걸려오고, 이 전화는 그의 삶을 뒤흔든다. 단순히 사라진 줄로만 알았던 어머니 '정영희'가 40년 만에 백골 사체로 발견된 것. 영정 사진도 없이 장례를 치르게 된 상황 속 처음 만나는 외가 가족들에게 사진을 부탁했지만, "못생겨서 사진 찍기를 싫어했다"라는 뜻밖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


'정동환'은 다큐멘터리 PD '김수진'(한지현 분)과 과거 어머니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 뒤쫓게 된다. 여기에 어머니가 어떻게 생겼는지 또한 관객들에게 높은 몰입도를 선사할 미스터리다.


이모들을 시작으로 과거 어머니가 일했던 청계천 의류 공장 사람들, 재봉사, 공장 사장과 아버지까지 다섯 개 챕터로 구성된 인터뷰가 진행되면서 하나 둘 비밀이 파헤쳐지고, 가려졌던 사건의 진상이 드러난다. 다양한 사람들을 인터뷰 하는 동안 공통점은 단 하나, 모두가 어머니에 대해 입을 모아 "못생겼다"고 말한다는 것이다. 아무런 망설임도, 양심의 가책도 없다.


다섯 번의 인터뷰를 통해 '얼굴'은 과거와 현재를 관통하고, 반복적인 구성, 인물들의 잔잔한 대화가 이어지지만 지루함 없이 작품에 몰입 가능하다. 또한 이야기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정영희'라는 인물의 '얼굴'을 보여주지 않는 이 작품은 관객들에게 '못생김'에 대한 각자의 상상력을 주입하면서도 결국 사람의 뒤틀린 내면에 포커스를 맞춘다.


추한 것은 멸시당하고, 아름다움은 추앙받는다는 누군가의 강한 믿음이 스크린에 울려 퍼질 때 관객들의 머릿속에는 여러 물음표가 떠오를 터다. 여기에 감춰졌던 '얼굴'이 드러나는 결말에 이르러서는 한 문장으로 형언할 수 없는 복잡한 감정이 휘몰아친다. 그 '얼굴'을 본 뒤 머릿속에 어떤 생각이 떠올랐든 말이다.


'얼굴'은 배우들의 연기도 큰 몫을 차지한다. 시각장애를 가진 전각 장인 '임영규'의 젊은 시절과 그의 아들인 '임동환'까지 모두 소화하는 1인 2역을 소화한 박정민과 현재의 '임영규'를 맡은 권해효의 열연은 '얼굴'의 중심을 탄탄하게 잡으며 명불허전의 연기력을 선보인다. 과연 이름값 그대로다. 다소 단조롭게 느껴질 수 있는 이야기의 흐름은 두 배우의 연기력으로 더욱 풍성하게 채워진다.


신현빈 / 사진=영화 '얼굴' 스틸컷
신현빈 / 사진=영화 '얼굴' 스틸컷

또한 주목할 만한 배우는 영화 내내 얼굴이 보이지 않는 '정영희' 역의 신현빈이다. 카메라에 얼굴이 잘 잡히도록 노력하는 통상적인 배우의 역할에서 벗어나 파격적이고 용감한 출연을 결정한 신현빈의 도전은 완벽하게 통했다. 표정보다는 몸짓과 말투로 '정영희'의 삶을 생생하게 전하며 얼굴을 보이지 않고도 놀라운 존재감을 발휘한다.


박정민은 "이 영화를 체험해보고, 서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는 장이 됐으면 한다. 많은 관객들이 이 시대에서 우리가 해볼 법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이 영화를 보고, 진득한 생각을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볼 수 있다면 그걸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의 바람처럼, '얼굴'은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 영화를 보고난 뒤 정체를 알 수 없는 진득한 불쾌함은 관객들을 영화에 더 긴 시간 머무르게 만든다.


약 2억 원의 한정된 예산, 약 3주간 13회차에 걸친 촬영. 여러모로 도전이었던 '얼굴'은 한국 영화계에도 새로운 화두를 던진 듯 보인다. 11일 개봉. 15세 이상 관람가. 러닝타임 103분.


추천 기사

연예-영화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영화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