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체육진흥공단 경륜경정총괄본부가 2024년도 경륜에 혁신을 추가했다.
확정된 경주운영 계획에 따르면 2024시즌은 1월 5일부터 12월 29일까지 개최되며 연간 총 51회차 156일 2496경주 이내로 2023시즌과 비교해 1일 96경주를 확대해 시행한다.
경륜경정총괄본부는 경륜개장 30주년을 맞이해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제도개선책을 마련했다.
주요 제도개선 내용으로는 먼저 선수가 순위에 따라 획득하는 경주득점의 격차를 확대한다. 순위 간 ±1점차를 ±2점차로 확대해 선수들의 치열한 순위경쟁을 유도할 방침이다.
이로서 현재 특선급 7위는 우수급 1위 수준의 점수를 획득하지만 개선 후에는 특선급 7위는 우수급 4위, 선발급 1위 수준의 점수를 획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 2회 시행되는 정기 등급심사 시 승강급에 대한 상당한 지각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경주 대진방식도 개선한다. 1일차부터 3일차까지 각개, 예선, 결승경주 순으로 진행되던 대진방식을 예선, 각개, 결승경주 순으로 변경해 운영한다. 이렇게 되면 1일차부터 결승경주 진출권을 놓고 겨루게 돼 3일 내내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승부가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 대상경륜 출전방식을 새롭게 개편한다. 대상경륜 출전기회를 선수별 안분해 부여했던 것과 달리 일관되게 성적상위자 순으로 부여한다. 이렇게 되면 경륜을 대표하는 최강자 임채빈과 정종진은 지방에서 열리는 대상경륜을 포함해 연간 최대 8회까지 맞붙는 빅매치가 가능하게 된다.
경륜 경주운영 관계자는 "경륜 고객들에게는 박진감 넘치는 경주를 제공하고 선수들에게는 경주에 더욱 집중할 수 있는 경주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게 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다수의 경륜 전문가들은 "아직 경륜 경쟁력 확보를 위해 개선해야 할 것이 많다"는 의견을 내고 있다. 경륜경정사업본부가 더욱더 획기적인 자구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