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속공 끊으면 다시 'U-파울' 불린다, 파울 챌린지는 무조건 '3회'... KBL 규칙 설명회 [현장]

속공 끊으면 다시 'U-파울' 불린다, 파울 챌린지는 무조건 '3회'... KBL 규칙 설명회 [현장]

발행 :

논현동=이원희 기자
이승무 심판이 KBL 규칙 설명회에서 판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이원희 기자.
이승무 심판이 KBL 규칙 설명회에서 판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이원희 기자.

'U-파울→일반 파울→U-파울'


이제 속공 상황에서 상대 공격을 무리하게 끊을 경우 다시 U-파울이 불린다.


KBL은 16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 KBL 센터 5층 교육장에서 2025~2026 규칙 설명회를 개최했다. 유재학 경기본부장이 참석하고, 이승무 심판의 진행 아래 개최된 이번 규칙 설명회에선 2025~2026시즌 주요 판정 사항에 대한 브리핑 및 미디어 대상 질의응답 시간으로 이뤄졌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트랜지션 상황에서 일어나는 U-파울이었다. 2023~2024시즌까지만 해도 KBL은 속공 상황에서 수비자가 고의로 팔을 뻗어 반칙을 범할 경우 'U-파울'로 판정했다. 하지만 지난 시즌에는 국제농구연맹(FIBA) 가이드라인에 따라 이를 변경했다. 같은 상황이어도 U-파울이 아닌 일반 파울로 인정했다.


그러나 2년 만에 다시 U-파울로 돌아왔다. 이승무 심판은 "재미가 반감 됐다는 등 좋은 점보다 나쁜 점이 더 많았다는 평가가 있었다"면서 "몸으로 트랜지션을 막는 것 역시 U-파울이 불린다. 과격한 동작인 경우에는 C2 파울리 불려 제재금이 나올 수 있다. 다만 정상적인 수비 범위 안에서 일어난 신체 접촉은 일반 파울이다"고 설명했다.


코치진과 선수단 등 현장 반응도 긍정적이다. 이승무 심판은 "2년 전 선수들이 했던 부분이기에 빨리 적응했다. 트랜지션 상황에서 (고의로 손을 뻗는) 동작이 잘 안 나왔다. 적응한 것 같다"고 말했다.


또 파울 챌린지도 변경됐다. 새 시즌부터 챌린지는 자신의 팀에 파울이 선언된 경우에만 신청할 수 있다. 또 챌린지를 통해 기존 판정과 다른 부분 등이 발견될 경우 파울을 범한 선수도 바뀔 수 있다.


챌린지는 한 경기당 각 팀 총 3번씩 쓸 수 있다. 챌린지 성공 여부와 상관없이 무조건 3번이다. 경기 중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지만, 4쿼터 2분 미만일 때는 1번 밖에 쓰지 못했다. 예를 들어 챌린지가 3번 남았다고 해도 경기 시간이 4쿼터 2분도 남지 않았을 때는 무조건 1번만 사용이 가능하다. 남은 2번은 날리게 되는 것이다. 챌린지가 2회 남아도 기회는 한 번뿐이다.


단 챌린지가 남지 않은 상황이라면 쓰지 못한다. 승부가 연장으로 넘어가면 챌린지가 1회가 추가되지만, 쓰지 않았던 챌린지가 연장으로 넘어가지는 않는다.


KBL 규칙 설명회. /사진=이원희 기자.
KBL 규칙 설명회. /사진=이원희 기자.

이외에도 드로인 규칙도 바뀌었다. 4쿼터 2분 안에서 득점 이후 타임아웃이 불리면 한 쪽 사이드에서만 공격할 수 있었다가, 새 시즌 양 쪽 사이드에서 가능해졌다. 백코트에서나 파울, 바이얼레이션 상황 이후 타임아웃에선 같은 쪽 사이드에서만 경기를 진행한다. 또한 경기 시작부터 38분까지는 주어지지 않아야 할 자유투가 주어지는 등 득점, 파울 상황에서 실수가 나오면 언제든 정정할 수 있다. 이전까지는 정해진 시간 안에서만 정정해야 했다. 샷클락 오류는 24초 안에 정정해야 한다.


하프타임 시간은 12분에서 15분으로 늘어났다. 이승무 심판은 "구단이나 선수들뿐 아니라 팬들에게도 여유로운 시간을 주기 위해"라고 말했다.


POC 슈터에 대해선 슛을 던지는 선수의 손에서 공이 떠나기 전에 상대 선수와 손끼리 접촉이 일어나면 파울이 불린다. 하지만 손에서 공이 떠난 뒤 접촉이 발생하면 파울이 아니다. 다만 공이 떠나도 팔의 접촉이 일어난다면 파울로 인정된다.


이승무 심판. /사진=이원희 기자.
이승무 심판. /사진=이원희 기자.

추천 기사

스포츠-일반의 인기 급상승 뉴스

스포츠-일반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