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체육회가 지난 1일 오후 4시 서울 올림픽파크텔 3층 대한체육회 회의실에서 '제1차 동계올림픽종목협의체 회의'를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동계올림픽종목협의체(이하 협의체) 출범 이후 처음 열린 공식 회의였다. 유승민 대한체육회장을 비롯하여 이수경 협의체장(대한빙상경기연맹 회장)과 루지, 봅슬레이·스켈레톤, 아이스하키, 컬링, 산악 등 동계종목단체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동계종목 운영상 개선사항과 2026 밀라노코르티나동계올림픽대회 대비, 국군체육부대 동계종목 팀 창단 등 다양한 사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날 회의의 핵심 안건은 국군체육부대 내 동계종목 팀 창단의 필요성이었다. 과거 동계종목 국군체육부대는 국방부와 문화체육관광부 간의 협약에 따라 2012년부터 2019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며 선수들의 군 복무와 훈련 병행을 지원해 왔으나,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종료 이후 해체되면서 현재는 바이애슬론팀만 제한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로 인해 지난 7년간 많은 동계종목 선수들이 체계적인 군 복무 지원을 받지 못해 훈련 공백과 선수 생활 단절을 겪어왔다는 점이 주요 문제로 지적됐다.
특히 하계종목 선수들이 안정적인 군 복무와 훈련을 병행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춘 것과 달리, 동계종목 선수들은 동일한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어 형평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협의체 참석자들은 이러한 불균형이 장기적으로 동계 스포츠의 선수층 약화와 국가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데 공감대를 모았다.
이에 따라 협의체는 동계종목 선수들의 군 복무 안정성을 확보하고 선수 생활 단절을 예방하는 한편, 안정적인 훈련 환경을 마련해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부 유관부처에 국군체육부대 동계종목 팀 창단을 공식적으로 검토하고 단계적 추진 방안을 마련할 것을 요청할 계획이며,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한체육회가 전담 협의체를 구성해 제도 마련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또한, 주요 종목을 중심으로 시범 운영을 시작한 뒤 성과를 토대로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유승민 회장은 "동계종목 선수들이 안정적으로 군 복무와 훈련을 병행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은 국가 경기력 강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제"라며 "대한체육회가 주도적으로 관련 부처와 긴밀하게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수경 협의체장은 "이번 협의체에서 논의된 국군체육부대 동계종목 팀 창단이 제도화되기를 바란다"며 "동계종목 선수들의 경력이 단절되거나 기량을 잃는 일 없이, 대한민국 동계 스포츠가 안정적 기반 위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