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수영의 간판' 황선우(22·강원특별자치도청)가 주종목에서 아시아 최고가 됐다. 8년 묵은 아시아 기록을 갈아치우고 말았다.
황선우는 20일 오후 부산 사직종합운동장 실내수영장에서 열린 제106회 전국체육대회(전국체전) 남자 일반부 자유형 200m 결승에서 1분 43초 92로 결승선을 터치, 금메달을 목에 걸게 됐다.
앞서 오전에 열린 예선에서는 1경기에서 이호준(제주시청)이 1분 49초 51로 가장 좋은 기록을 선보이며 통과했고, 황선우는 1분 50초 53으로 결승전에 진출했다.
이어 결승전에서 황선우는 엄청난 페이스로 달려나갔다. 결승전이 가까워질 수록 페이스를 끌어올린 그는 2위 이호준과 무려 4초에 가까운 격차를 보여주면서 여유있게 결승점에 들어왔다. 그야말로 자신이 자유형 200m의 황제임을 제대로 증명했다.
황선우의 해당 기록은 2022년에 본인이 달성한 대회 기록(1분 44초 40)과 지난해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자신이 세운 한국 신기록(1분 44초 40)을 넘어 쑨양(중국)이 2017년 세운 아시아 기록(1분 44초 39)도 넘어서는 신기록이었다.

경기 후 기자회견장에 들어온 황선우는 "오늘 내가 살아온 인생 23년 동안 두드리던 1분 44초대 벽이 깨지고 1분 43초대에 들어가게 돼 손 꼽을 만큼 행복한 순간이다"라며 상기된 모습을 보였다. 포상금 수여식 때 눈물을 펑펑 쏟은 그는 "눈물이 없는 편인데, 이 1분 43초대라는 기록이 2020 도쿄 올림픽 때부터 간절했다. 그동안 고생한 것들이 씻겨나가는 기록이었다"며 "잘 안 우는데 하염없이 눈물이 났다"고 했다.
황선우는 지난 7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2025 세계수영연맹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자유형 200m 4위(1분 44초 72)를 기록했다. 3위인 무라사 다쓰야로(1분 44초 54)와는 불과 0.18초 차이였다. 그는 "(2024 파리) 올림픽 이후 1분 44초 중후반을 왔다갔다 하면서 1분 43초대 벽을 많이 두들겼다"며 "1분 43초대 들어가서 두드리던 벽이 깨졌다. 수영 인생에서 좋은 터닝포인트 될 것 같다. 힘든 순간이 많았는데 이 순간 하나로 다 씻겨내려갔다"며 감격에 찬 모습을 보였다.
이어 황선우는 "싱가포르 대회 이후 휴식기를 가져왔어야 했는데, 잠깐 휴식기 가지고 전국체전을 준비했다"며 "세계선수권 준비할 때만큼 기량이 올라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산 전지훈련을 2주 먼저 왔는데, 오늘 자유형에서 내 모든 걸 보여주는 레이스를 잘했던 것 같다"고 했다.
쑨양의 아시아 기록을 깬 부분에 대해 황선우는 "100m 신기록(도쿄 올림픽 예선, 현재는 중국 판잔러)도 세웠었는데, 200m도 깨고 싶었다"면서 "부산 전국체전에서 깨서 날아갈 것 같다"고 환희에 찬 모습을 보여줬다.

지난해 황선우는 파리 올림픽에서 자유형 200m 준결승 탈락의 아픔을 맛봤다. 그는 "큰 무대는 레이스 운용도 중요하다. 지금 1분 43초대가 나와도 다음에 나온다는 보장이 없다"며 "처음 나온 기록은 내 기록이 아니고 두세 번는 나와야 한다. 앞으로의 대회에서도 1분 43초대 나와야 한다"며 말했다.
황선우는 전국체전에서 역사를 쓰고 있는 선수다. 2021년 5관왕을 시작으로 2022년 4관왕, 2023년 5관왕을 차지하며 3년 연속 전국체전 MVP에 올랐다. 지난해에도 자유형 200m, 계영 400m, 계영 800m, 자유형 100m에 이어 혼계영 400m까지 우승하며 또다시 5관왕에 올랐다.
지난해 임시현(한국체대)에게 아쉽게 내준 MVP를 되찾을 기회를 잡은 황선우다. 그는 "오늘 (신기록을) 세우면서 자신감이 올라왔다. 기세 올려서 내일 경기 잘 치러서 다시 MVP 자리를 도전해볼 수 있는 상황 된 것 같다"고 말했다. 또한 남은 대회 각오를 밝히면서 "몸 상태는 100%다. 최선 다했으니 내일 있을 경기도 실수 없이 한국 신기록 도전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