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한연노 "KBS 출연료미지급, 외주사 덤핑계약 탓"

한연노 "KBS 출연료미지급, 외주사 덤핑계약 탓"

발행 :

최보란 기자
KBS 별관 앞ⓒ스타뉴스
KBS 별관 앞ⓒ스타뉴스


한국방송연기자노동조합(이하 한연노)이 출연료 미지급 문제로 KBS 촬영거부에 들어간 가운데, "출연료를 이중지급 할 수 없다"는 KBS 입장에 대해 반박했다.


한연노는 16일 보도자료를 통해 "단체협약 위반을 시정하고, 13억원에 달하는 미지급 출연료의 지급 등을 요구했더니 KBS는 '미지급 문제는 외주제작사와 배우들 사이의 문제일 뿐 자신들과 전혀 무관하다. 국민의 혈세로 출연료를 이중지급할 수 없다'는 논리로 우리를 비난하며 국민들을 호도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한연노는 이 같은 출연료 미지급 사태의 근본 원인을 외주제작 시스템으로 지적하며 "계약은 방송사와 외주사가 하면서 잘못된 제작으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연기자들이 감당하고 있다"라고 피력했다.


이어 "신생 제작사들이 방송사의 비호 아래 편성을 받고는 방송 끝나기 무섭게 부도를 내고 도망쳐 버린다. 최소한 재정능력이나 제작경험 기술인력 그리고 대표의 경영마인드 등을 검토조차 않고 편성을 준다"라고 말했다.


한연노는 이와 관련해 KBS 2TV에서 방영한 드라마 '도망자 플랜비'와 '프레지던트' 등의 상황을 예로 들었다.


한연노는 "4억5천만원의 출연료를 떼어먹은 '도망자'는 '도망자 에스원'이라는 유한회사인데 대표가 KBS FD 출신이다. 예상대로 종방과 함께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이미 방송사나 부도덕한 외주사 대표가 챙길 것 다 챙겨서 껍데기만 남은 회사더러 출연료 내놓으란다고 내놓을 재원이 있을 리 만무하다"라며 "5억4천만원 미지급 사태를 빚은 '프레지던트'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KBS 행정직 사원 출신이 대표로 있는 제작사 작품으로, 출연료를 미지급하고 제작사는 단 한 푼 남아있지 않은 유령회사가 되어 팽개쳐졌다"라고 전했다.


이어 "KBS가 자신들과 아무 상관없다고 주장하는 이 부실 외주사들은 이름만 바꾼 KBS의 다른 얼굴일 뿐이다. 미지급 사태를 일으킨 5개의 외주사 모두 드라마를 만든 경력이 전혀 없는 신생기업이었고, 출연료를 주지 않은 채 모두 부도 처리됐거나 도망가 버렸다"라고


한연노는 또한 "외주제작이 일반화된 요즘 방송사들은 세트 시설을 수익모델로 하여 자회사를 운영해 오고 있다"라며 "외주제작 계약을 하면서 미술 파트는 반드시 자신들 자회사에 하청을 주는 방식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해 주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KBS의 주장대로라면 미술비는 외주사와 계약한 대로 제작비 안에 다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미술비를 지급하면 안 된다. 그런데 미술비 만큼은 외주사와 어떻게 계약을 하더라도 KBS가 자회사인 KBS 아트비전에 직접 지급하고 있다"라며 "KBS 자신들의 논리라면 이는 미술비를 이중지급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연노는 "KBS가 미술비를 외주사 통하지 않고 직접 지급했듯이 출연료를 직접 출연진들에게 지급하라'는 우리의 요구가 잘 못된 것인가"라고 반문하며 "편당 제작비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가격에 덤핑 계약을 했으니 거기서 미술비 떼고 출연료 떼고 나면 외주사에 내려줄 돈이 없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한연노는 지난 9일 KBS가 약 13억원에 달하는 출연료를 출연자들에게 미지급, 종전에 지급보증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지난 12일부터 KBS를 상대로 촬영거부투쟁을 벌이고 있다.


한연노 측은 지난 12일 수원 세트장에서 진행되는 KBS 1TV '대왕의 꿈'을 상대로 출연거부투쟁을 했다. 이어 지난 14일 오후에는 서울 여의도 KBS 신관 공개홀에서 진행될 KBS 2TV '개그콘서트'의 녹화에 앞서 촬영거부투쟁 집회를 열었다.


또한 KBS 2TV 주말극 '내 딸 서영이'와 KBS 1TV 일일극 '힘내요, 미스터 김!', '산 너머 넘촌에는2' 등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촬영거부투쟁을 예고했다.


주요 기사

    연예-방송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방송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