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故) 오요안나 MBC 기상캐스터가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난 지 15일 1주기를 맞은 가운데, MBC가 프리랜서 기상캐스터 제도를 폐지했다.
MBC는 15일 "프리랜서 기상캐스터 제도를 폐지하고, 기상기후 전문가 제도를 도입해 정규직으로 채용하기로 했다"라며 공식 입장문을 발표했다.
기상기후 전문가는 기존 기상캐스터의 역할은 물론 취재, 출연, 콘텐츠 제작을 담당하여 전문적인 기상·기후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맡는다.
또한 MBC는 "올해 연말 또는 내년 초 일반 공개채용을 통해 기상기후 전문가를 선발할 예정"이라며, 지원 자격에 대해서는 "기상·기후·환경 관련 전공자나 자격증 소지자 또는 관련 업계 5년 이상의 경력자다. 또한 기존 프리랜서 기상캐스터들도 지원이 가능하다"라고 설명했다.
MBC는 "고 오요안나 님의 1주기를 맞았다.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족께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올린다"라며 "아울러 민사소송 당사자 간의 동의가 이뤄질 경우, MBC는 진상조사위원회의 조사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MBC의 이 같은 입장문에 유족 측과 시민단체는 "고인을 두 번 죽이는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뉴스1에 따르면 이들은 "MBC 발표는 고 오요안나 캐스터의 노동자성을 전혀 인정하지 않는다는 뜻"이라며 "어머니가 제2의 오요안나를 막기 위해 기상캐스터 정규직화를 위해 단식했는데, 단식의 결과가 오요안나의 동료들을 MBC에서 잘리게 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더구나 오늘 안형준 사장과 MBC 사측이 농성장을 방문했을 때 한 마디도 꺼내지 않다가 시민사회단체가 추모제를 여는 시간에 맞춰 보도자료를 냈는데 이는 유족과 시민사회를 철저히 무시하고 기만하는 것"이라고 일갈했다.
이어 "만약 요안나가 MBC 정규직이었다면,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었다면, MBC가 요안나를 보호해줬다면 우리 요안나가 목숨을 끊지 않았을 것"이라며 "제2의 오요안나를 막으려면 기상캐스터를 정규직으로 바꿔줘야 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MBC 측에 △공식 사과와 재발 방지 입장 표명 △명예 회복과 예우 △비정규직 고용구조 및 노동조건 개선 △MBC 자체 진상조사 결과 공개 등을 요구했다.
고인의 어머니인 장연미 씨와 시민사회단체 등은 15일 오후 7시 서울 마포구 상암 MBC 단식농성장 앞에서 오요안나의 1주기 추모제를 진행했다. 모친은 8일째 단식 중이다.
오요안나는 지난해 9월 15일 향년 28세 일기로 사망했으나, 고인의 비보는 그해 12월 10일에야 뒤늦게 알려졌다. 이후 올해 1월, 고인이 동료 기상캐스터 2명에게 괴롭힘을 당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파문이 일었다.
이에 대해 MBC는 1월 31일 보도자료를 통해 오요안나 사망의 원인과 진실을 규명하기 위해 외부 전문가를 위원장으로 하는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고 알렸고, 2월 3일 출범을 공식화했다.
이후 고용노동부는 5월 19일 MBC를 대상으로 한 특별근로감독 결과를 발표했고, 고인에 대한 직장 내 괴롭힘이 있었다고 결론을 내렸다. 다만 오요안나가 근로자로 인정되지 않아 MBC 관계자들을 근로기준법 위반 혐의로 처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봤다.
이에 MBC는 "고용노동부의 특별근로감독 결과를 매우 엄중하게 받아들인다"라며 "재발 방지 대책 마련과 조직문화 개선, 노동관계법 준수를 경영의 최우선 과제로 올려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는 입장문을 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