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국제영화제가 올해 파행이 불가피하게 됐다. 한국영화계가 2016 부산국제영화제 참가 전면 거부를 결의했다.
18일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 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는 각 단체별 회원들에게 부산국제영화제 보이콧 찬반 여부를 묻는 의견 수렴 과정 결과 과반수 이상의 응답자 중 90% 이상이 보이콧에 찬성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영화계는 올해 부산국제영화제 참가를 전면 거부하게 됐다.
범 영화인 비대위는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감독조합,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한국독립영화협회,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 한국시나리오작가조합, 여성영화인모임, 영화마케팅사협회 이상 9개 영화 단체로 결성됐다.
앞서 비대위는 3월21일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국제영화제 자율성이 보장되지 않으면 보이콧을 하겠다고 선언했었다. 비대위는 지난 1일부터 일주일간 SNS와 전화설문을 통해 소속 회원 전원에게 찬반 의견을 묻는 투표를 실시했다. 각 단체별 회원 과반수 이상이 응답했으며 응답자 중 90% 이상이 보이콧에 찬성했다고 전했다.
영화계가 이렇게 한 목소리를 낸 건 지난 2006년 스크린 쿼터 축소 반대 이후 10년 만이다. 이는 영화계가 표현의 자유와 영화제의 독립성 훼손을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증거다.
2014년 '다이빙벨' 상영을 놓고 불거진 부산국제영화제와 부산시의 갈등은 이제 부산시와 한국 영화계 갈등으로 넘어갔다. 부산영화제 조직위원장인 서병수 부산시장은 지난 2월25일 열린 영화제 정기총회에서 자문위원들에게 정관 개정 등을 논의하는 임시총회 개최를 요구받았다. 하지만 서 시장은 이를 거부하고, 신규 자문위원 68명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신청을 냈다. 이후 법원은 부산시 손을 들어줬다. 이에 따라 부산영화제 측이 바랐던 임시총회는 사실상 무산됐다.
범 영화인 비대위는 "10월6일로 예정된 부산국제영화제가 6개월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서 이런 극단적인 조치를 취하게 된 것은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이어 "부산시장의 조직위원장 사퇴와 부산국제영화제의 독립성 보장 더 나아가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기반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올해 부산국제영화제에 영화인들이 참석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부산시의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다’는 원칙이 지켜져 모쪼록 영화제의 정상화가 이루어지길 강력하게 바란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