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임을 위한 행진곡' 감독 "5.18 영화 왜 만드냐고? 현재진행형이기에"

'임을 위한 행진곡' 감독 "5.18 영화 왜 만드냐고? 현재진행형이기에"

발행 :

김현록 기자
박기복 감독 / 사진=홍봉진 기자
박기복 감독 / 사진=홍봉진 기자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다룬 영화 '임을 위한 행진곡'의 박기복 감독이 또 다시 현재진행형의 5.18영화를 만들려 했다고 연출의 변을 밝혔다..


박기복 감독은 18일 오전 서울 명동역CGV 시네라이브러리에서 열린 영화 '임을 위한 행진곡' 제작보고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박기복 감독은 "촬영 기획 하루하루가 피말리는 시간들이었다. 지금도 마찬가지"라며 "가끔 이런 질문을 한다. 5.18 영화를 왜 만드나. 답은 간단하다. 5.18은 발포명령 등 역사 자체가 규명이 안됐다. 5.18은 현재진행형이다. 현재진행형으로 다뤄야 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렇다면 뭘 보여주겠는가. 새로워야 했다. 기존 80년 5월의 영화가 닫힌 공간의 영화라면 이 영화는 열린 공간의 영화라 규정했다"며 "80년 광주를 야망과 광기의 시대로 설정했는데, 80년 5월에 머물지 않고 시대와 공간을 해체했다. 새로운 시간과 공간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박 감독은 "스토리펀딩을 진행하면서 물에 빠지면 지푸라기라도 잡는다는 심정이 뭔지 알게 됐다. 스토리펀딩이 뭐지도 잘 몰랐는데 그를 시작하고 많은 반응을 봤다. 그 후원을 통해서 어떤 가능성을 보고 자신감의 계기가 됐던 것 같다"고도 밝혔다.


또 박기복 감독은 "이 영화가 서울이 아닌 화순에서 시작되다보니 눈에 띄지 않았다. 동네 아이들 찍는 것으로 생각했을 것"이라며 "영화가 진행되고 스토리펀딩이 진행되니 전화가 한 번씩 온다. 누군지는 모른다. 제목이 너무한데 바꾸면 안 되겠냐고 한다. 전두환 욕 하지 마라는 전화도 있었다. 박근혜 정권 탄핵 이후는 그런 전화가 없었다"고도 전했다.


박 감독은 "지나고 나니 가십거리가 될 수 있지만, 당시엔 바쁘고 힘들어 무시하고 갔다. 모든 일엔 그런 부분이 있을거라 생각해 크게 생각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영화 '임을 위한 행진곡'은 38년이 지난 2018년 5월을 대비시켜 아직도 이어지고 있는 민주주의를 위한 투쟁, 그리고 시효 없는 국가폭력과 범죄를 다룬 작품이다. 동명의 민중가요도 유명하다. 영화는 오는 5월 16일 개봉한다.


주요 기사

    연예-영화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영화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