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쇼박스가 K-콘텐츠 경쟁력을 높여 글로벌 시장 도약에 나선다.
15일 서울시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에서 쇼박스의 미디어데이 'FUN FOR TOMORROW'가 진행됐다. 이 자리에는 김도수 쇼박스 대표, MCG 구본웅 의장이 참석해 국경과 플랫폼, 포맷의 제약을 넘어 K-콘텐츠의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업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김도수 대표는 "지난 5년간 많은 변화가 있었다. 글로벌 OTT(Over The Top)가 한국 시장에 진출했고, 코로나 팬데믹으로 극장이 큰 어려움을 겪었다. 쇼박스 입장에서는 큰 위기이기도 했지만 적극적인 변화를 위한 큰 기회이기도 했다"라고 밝혔다.
이어 "3년 전부터 고집스러울 만큼 영화만 하는 회사에서 벗어나서 다양한 포맷의 콘텐츠를 개발하고 투자하고 제작하고 배급하는 멀티 콘텐츠 스튜디오로 변모했다. 2020년 '이태원 클라쓰'가 시청자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고 그 바통을 이어받아서 쇼박스에서 기획하고 개발하고 있는 TV 드라마, OTT 시리즈가 40편 정도 된다. 올해 촬영에 돌입할 드라마가 3편, 내년에는 3편~5편 정도의 작품을 만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쇼박스는 새로운 콘텐츠 소비 환경과 IT 플랫폼 기술의 발전 속에서 크리에이터들이 지속 가능한 창작 활동을 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유통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쇼박스는 '크리에이터 중심의 선순환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며 차세대 플랫폼과 글로벌 시장 속 K-콘텐츠의 무한한 확장을 이끌어 나간다는 포부다.
그는 "재능 있는 크리에이터들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상상력과 비전이 영상으로 구현했다. 그들을 받쳐주고 끌어주면서 갔던 것들이 좋은 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었던 원동력"이라며 "기획 창작 집단을 구성해 크리에이터들의 상시적인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기획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다. 모든 감독, 작가들에게 활짝 열려있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날 쇼박스는 장재현 감독의 신작 '파묘', 김성훈 감독의 '피랍', 김태균 감독의 '국가의 탄생' 등 쇼박스의 오리지널 IP를 기반으로 한 작품부터 한재림 감독의 '현혹', 원신연 감독의 '극야' 등 인기 원작 IP를 바탕으로 재창조할 콘텐츠들까지 다채로운 라인업을 공개해 기대감을 높였다.
또한 쇼박스는 웹 3.0으로 대표되는 메타버스, NTF와도 결합될 수 있는 가치 있는 IP의 발굴에 전면적으로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쇼박스는 하나의 IP가 포맷과 플랫폼, 국경의 한계 없이 연결, 확장되며 새로운 콘텐츠로 탄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전망이다.
지난 4월, 미국 투자회사 MCG(Maum Capital Group)와 약 1400억 규모의 투자 유치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메타버스, NFT 등 차세대 플랫폼에 특화된 콘텐츠를 투자, 제작하는 신사업을 추진하며 글로벌 사업 범위를 공격적으로 확장하겠다는 목표다.

MCG 구본웅 의장은 메타버스, NFT 등 차세대 플랫폼에 대해 설명하며 "이를 사용해 작품 안에서나 작품 밖에서 생각하지 못한 걸 구현하실 거라는 기대를 하고 있다"라며 "쇼박스와 또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명확한 차별화를 두려고 한다. 업계에서 보지 못했던 수준을 기획하고 있다. 쇼박스 로고의 물음표가 어떤 멋진 결과물로 세상에 나오게 될지 저희와 같이 언박싱하셨으면 한다"라고 기대를 당부했다.
또한 김도수 대표는 MCG와 파트너십 체결에 대해 "현재 K-콘텐츠가 전 세계에서 각광받고 있는데 '오징어 게임'이나 '지옥 같은' 작품들이 영화를 하던 크리에이터들이 만든 작품이다. 쇼박스가 20년 동안 영화를 집중적으로 해왔던 회사고, 그간 영화 크리에이터들과의 협업이 MCG 입장에서 매력적이었다고 생각한다"라며 "콘텐츠 비즈니스의 본질은 역시 '재미'라고 생각한다. 새롭게 만들어갈 도전과 미래에 대해 기대와 응원 부탁드린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쇼박스는 '태극기 휘날리며(2004)'를 시작으로 '괴물(2006)', '도둑들(2012)', '암살(2015)', '택시운전사(2017)'까지 총 다섯 편의 천만 영화를 탄생시켰고, 이외에도 작품성과 대중성을 갖춘 다수의 흥행작을 선보였다. 또한 지난 2020년 방송된 JTBC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를 통해 국내뿐 아니라 일본 및 해외에서도 큰 성공을 거둬 드라마 제작 역량까지 입증했다.
김나연 기자 ny0119@mtstarnews.com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