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년 만에 돌아왔다. 속공 상황에서 상대 공격을 끊는 반칙이 나올 경우 이제 다시 'U파울'이 불린다.
KBL은 16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 KBL 센터 5층 교육장에서 2025~2026 규칙 설명회를 개최했다. 유재학 경기본부장이 참석하고, 이승무 심판의 진행 아래 개최된 이번 규칙 설명회에선 2025~2026시즌 주요 판정 사항에 대한 브리핑 및 미디어 대상 질의응답 시간으로 이뤄졌다.
심판진이 가장 강조하고, 취재진의 관심을 받은 건 트랜지션(속공) 상황에서 일어나는 U파울이었다. 규정이 또 한 번 바뀌었다. 2023~2024시즌까지만 해도 속공 상황에서 수비자가 고의로 팔을 뻗어 반칙을 범할 경우 'U-파울'로 판정했다. 하지만 지난 시즌에는 국제농구연맹(FIBA) 가이드라인에 따라 이를 변경했다. 같은 상황이어도 U-파울이 아닌 일반 파울로 인정했다.
그러나 KBL은 FIBA 규정도 뒤엎고 2년 만에 다시 U파울로 돌아왔다. 아무래도 일반 파울은 크게 부담이 없다 보니 선수들이 마음 놓고 상대 속공을 무리하게 끊어냈다. 경기가 툭툭 끊기는 일이 잦았고, 선수들의 부상 위험도 올라갔다. 자연스레 경기 시간도 늘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런 단점에 'U파울 복귀'를 결정했다.
이승무 심판은 "재미가 반감 됐다는 등 좋은 점보다 나쁜 점이 더 많았다는 평가가 있었다"면서 "몸으로 트랜지션을 막는 것 역시 U-파울이 불린다. 과격한 동작인 경우에는 C2 파울이 불려 제재금이 나올 수 있다. 다만 정상적인 수비 범위 안에서 일어난 신체 접촉은 일반 파울이다"고 설명했다.
일본도 비슷한 케이스다. 유재학 경기본부장은 "일본도 같은 상황에서 U파울을 주고 있다. 한 시즌 운영을 해보니 경기 흐름이 끊겼다. 감독, 사무국장, 경기본부 등으로 구성된 소위원회에서 의논 끝에 다시 바꾸게 됐다"고 말했다.
코치진과 선수단 등 현장 반응도 긍정적이다. 전지훈련과 연습경기 등에서 변경된 규칙을 가지고 경기를 진행했다. 이승무 심판은 "2년 전 선수들이 했던 부분이기에 빨리 적응했다. 트랜지션 상황에서 (고의로 손을 뻗는) 동작이 잘 안 나왔다. 적응한 것 같다"고 했다.

또 파울 챌린지도 변경됐다. 새 시즌부터 챌린지는 자신의 팀에 파울이 선언된 경우에만 신청할 수 있다. 또 챌린지를 통해 기존 판정과 다른 부분 등이 발견될 경우 파울을 범한 선수도 바뀔 수 있다. KBL은 올 시즌 개막에 앞서 시범경기(오픈매치)를 진행한다. 선수들뿐만 아니라 심판진도 변경된 룰에 적응하는 시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변경되는 규정은 많다. 새 시즌 파울 챌린지는 한 경기당 각 팀 총 3번씩 쓸 수 있다. 챌린지 성공 여부와 상관없이 무조건 3번이다. 경기 중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지만, 4쿼터 2분 미만일 때는 1번 밖에 쓰지 못한다. 예를 들어 챌린지가 3번 남았다고 해도 경기 시간이 4쿼터 2분도 남지 않았을 때는 무조건 1번만 사용이 가능하다. 남은 2번은 날리게 되는 것이다. 챌린지가 2회 남아도 기회는 한 번뿐이다.
단 챌린지가 남지 않은 상황이라면 쓰지 못한다. 승부가 연장으로 넘어가면 챌린지가 1회가 추가되지만, 쓰지 않았던 챌린지가 연장으로 넘어가지는 않는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