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투수 왕국' 한화 자신감, 유신고 오재원 '전체 3순위' 지명! 차세대 중견수 뽑았다 [드래프트 현장]

'투수 왕국' 한화 자신감, 유신고 오재원 '전체 3순위' 지명! 차세대 중견수 뽑았다 [드래프트 현장]

발행 :
잠실=김동윤 기자
'2026 KBO 신인 드래프트'가 17일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 월드 크리스탈볼룸에서 열렸다.  오재원(유신고)이 전체 3순위로 한화에 지명된 후 손혁 단장의 도움으로 유니 폼을 입고 있다. /사진=김진경 대기자
'2026 KBO 신인 드래프트'가 17일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 월드 크리스탈볼룸에서 열렸다. 오재원(유신고)이 전체 3순위로 한화에 지명된 후 손혁 단장의 도움으로 유니 폼을 입고 있다. /사진=김진경 대기자

투수 왕국다운 자신감이 돋보이는 지명이었다. 전체 3순위 지명권을 가진 한화 이글스가 2026 KBO 신인드래프트에서 투수가 아닌 야수를 선택했다. 그 주인공은 유신고 중견수 오재원(18)이다.


한화는 17일 오후 2시 서울 롯데호텔 월드 크리스탈 볼룸에서 열린 '2026 KBO 신인드래프트'에서 전체 3순위로 오재원의 이름을 불렀다.


1순위는 이변 없이 '박석민 아들'이자 최고 시속 157㎞ 우완 파이어볼러 박준현(18·북일고)이 가져갔다. 하지만 2순위가 유력했던 경기항공고 양우진(18)이 18세 이하(U-18) 야구 청소년 국가대표팀 소집을 앞두고 피로골절을 겪으면서 2순위부터는 예측 불가의 상황이 펼쳐졌다.


올해 신인드래프트는 예년처럼 우완 투수들의 강세가 유력했다. 하지만 야수 풀이 더 좋지 않다는 시선이 있어 야수 톱3의 빠른 지명도 예상됐다. 2순위 NC가 유신고 3루수 신재인(18)을 뽑으면서 이변이 예상됐다. 신재인이 뽑힌 순간 장내가 술렁였는데 한화의 지명 순간에는 더욱 반응이 폭발적이었다.


오재원은 "이렇게 빨리 지명될 줄은 몰랐는데 저를 높은 순번에 지명해 준 한화 관계자 분들께 감사드린다. 뒷바라지 열심히 해주신 가족 분들에게 감사하다. 야구하는 데 있어 도움을 주신 초·중·고 감독님들께도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롤모델이 메이저리그 배지환이다. LG 박해민 선수와 유신고 선배님 정수빈 선수를 좋아하고 영상을 찾아보고 있다. 한화에 새로 입단하게 됐는데 인성부터 길러서 좋은 선수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한화 위해 제 한 몸 바쳐서 노력하겠다 감사하다"고 덧붙였다.


유신고 오재원. /사진=한화 이글스 제공
유신고 오재원. /사진=한화 이글스 제공

오재원은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KBSA) 기준 키 177㎝ 몸무게 76㎏의 우투좌타 중견수로, 준수한 콘택트, 빠른 발과 중견수 수비가 강점이다. 1학년부터 야구 명문 유신고의 중심타자 역할을 했다. 지난해 U-18 청소년 대표팀에서는 유일하게 2학년으로서 승선했고, 올해는 주전 중견수와 캡틴으로서 대표팀을 이끌었다.


1라운드 경쟁자에 아쉬움으로 지적받은 타격에서도 3학년 들어 타율 0.442(95타수 42안타), 32도루, 장타율 0.653으로 일취월장한 모습을 보였다. 고교 통산 성적은 타율 0.421(228타수 96안타) 1홈런 45타점 83득점 57도루, 출루율 0.527 장타율 0.575 OPS 1.102.


오재원을 선택한 건 기존 투수진에 대한 자신감이 없었다면 힘들었을 일이다. 한화는 160㎞ 우완 파이어볼러 듀오 문동주, 김서현을 필두로 정우주, 황준서 등 리그 수위급 투수 유망주들이 즐비하다. 하지만 야수 유망주가 문현빈 외에는 다소 약하다는 평가를 받았고 중견수 포지션은 한화가 꼭 보강해야 할 곳으로 꼽혔다.


전면 드래프트로 치러지는 '2026 KBO 신인 드래프트'는 1라운드부터 11라운드까지 이뤄지며, 2024년도 구단 순위의 역순인 키움-NC-한화-롯데-SSG-KT-두산-LG-삼성-KIA의 순으로 실시된다.


이중 NC는 한화와 SSG로부터 각각 양수받은 3·4라운드 지명권을, 키움은 KIA로부터 양수받은 1·4라운드 지명권을 갖는다. 따라서 전 구단이 모든 지명권을 행사할 경우, 키움과 NC는 13명, 한화와 SSG는 10명, KIA는 9명, 이외 구단들은 11명의 선수를 지명하게 돼, 총 110명의 선수가 KBO 리그 구단 유니폼을 입게 된다.







추천 기사

스포츠-야구의 인기 급상승 뉴스

스포츠-야구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