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승격 관문 3개 남았다' 2년 연속 PO 진출 서울이랜드... 'PO 경험치 쌓인' 도균볼 2년 차는 다를까 [목동 현장]

'승격 관문 3개 남았다' 2년 연속 PO 진출 서울이랜드... 'PO 경험치 쌓인' 도균볼 2년 차는 다를까 [목동 현장]

발행 :

서울이랜드 선수들이 지난 23일 목동종합운동장주경기장에서 열린 서울이랜드 대 안산 그리너스의 '하나은행 K리그2 2025' 39라운드 최종전에서 득점 후 기뻐하고 있다. /사진=서울이랜드 제공

서울이랜드가 지난해에 이어 다시 한번 승격을 향한 여정에 돌입했다. 지난해 '승강 플레이오프(PO)'를 치른 경험치가 발휘될지 관심이 쏠린다.


서울이랜드는 지난 23일 목동종합운동장 주경기장에서 열린 안산 그리너스와의 '하나은행 K리그2 2025' 39라운드 최종전 홈경기에서 6-0으로 완승했다.


이로써 서울이랜드는 승점 65로 K리그2 4위를 확정하며 4, 5위끼리 맞붙는 'K리그2 준PO' 진출을 확정했다.


이날 패했다면 6위로 떨어지며 PO에 진출하지 못할 수 있었다. 하지만 리그 최종전에서 구단 역대 최다골 신기록과 함께 PO 진출, 여기에 핵심 공격수 에울레르의 재계약 발표까지 하루 만에 여러 겹경사가 터지며 '1차 목표'를 달성했다.


서울이랜드에게 리그 종료는 끝이 아닌 시작이다. 승격을 향한 여정은 멀고도 긴데 무려 3개 관문을 뚫어야 하기 때문이다.


먼저 4위 서울이랜드는 5위 성남FC와 준PO를 이겨야 한다. 이 경기 승자가 3위 부천FC와 '승강 PO 준PO'를 치른다. 여기서 이기면 마지막 관문이 남아있다. K리그1 10위와 '승강 PO'를 치러 최종 승격 도전에 나선다.


에울레르(가운데)가 지난 23일 오후 2시 목동종합운동장주경기장에서 열린 서울이랜드 대 안산 그리너스의 '하나은행 K리그2 2025' 39라운드 최종전에서 골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사진=서울이랜드 제공

당연히 K리그1 10위 팀은 서울이랜드보다 전력에서 우위에 있거나 만만치 않은 상대들이다. K리그1 마지막 한 경기가 오는 30일 열리는 가운데 승강 PO 상대는 현재 9위 울산HD, 10위 수원FC 중 한 팀이 될 전망이다. 가장 먼저 넘어야 하는 성남도 쉽지 않다. 리그 막판 5연승 한 성남은 기세가 좋고 수비적으로 탄탄하다.


서울이랜드는 지난 시즌 2014년 구단 창단 최초로 승강 PO까지 진출했지만 전북 현대에 막혀 승격을 못 한 아픔이 있다. 당시 홈 1차전을 1-2로 패한 뒤 2차전 원정에서 브루노 실바가 선제골을 넣으며 기적을 만드는 듯했지만 후반 초반 티아고, 추가시간 문선민에게 역전골을 내주며 합계 스코어 2-4로 승격이 좌절됐다. 하지만 팬들의 기세가 강하기로 유명한 전주성 원정에서 명문 전북을 상대로 기죽지 않는 플레이를 펼친 점은 박수를 받았다.


당시 김도균 감독은 "승격은 실패했지만 나도, 선수들도, 팀도 모두 실패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더 성장하는 계기로 삼겠다"며 "이 경험과 기운을 잘 받아서 내년엔 승격할 수 있는 팀으로 만들겠다"고 다짐했던 바다.


김도균 서울이랜드 감독.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도균볼' 2년 차에 서울이랜드는 리그 최종 4위에 그치며 목표였던 '다이렉트 승격'은 이루지 못했다. 하지만 리그 최종전 승리로 2년 연속 승격 도전을 이어간다. 전날 김도균 감독은 승리 후 "우리가 원하는 결과를 얻었다. (시즌) 중간에 어려운 점이 있었지만, 4위로 PO에 올라 다행이다"라며 "시즌 막바지에 선수들의 응집력, 힘이 계속 살아나고 있다. 다음 성남, 부천전을 잘 준비해서 승강 PO까지 올라가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도움왕에 오른 에울레르도 승격을 향해 굳은 의지를 나타냈다. 'K리그2 최우수선수상(MVP)과 승격 중 어느 게 더 욕심나냐'는 질문에 "선수 커리어를 위해선 MVP가 욕심나지만 전 서울이랜드 선수다. 때문에 구단의 목표가 제 최고 목표와 같다. 두 가지 중 골라야 한다면 승격이다. 물론 둘 다 된다면 가장 좋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현재 팀 기세는 좋다. 10경기 무패(6승4무) 행진을 달리며 K리그2 팀 중 가장 안정적인 전력을 보인다. 에울레르를 앞세운 공격력과 김오규가 이끄는 수비진, 국가대표 출신 수문장 구성윤의 안정적인 골문까지 선수층도 탄탄하다. 무엇보다 지난해 전북과의 승강 PO 경험치, 김도균 감독의 지도력이 얼마나 발휘될지 관심이 쏠린다.


서울이랜드-안산 그리너스 경기 장면. /사진=서울이랜드 제공

추천 기사

스포츠-축구의 인기 급상승 뉴스

스포츠-축구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