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졸전'이었다.
한국 축구대표팀은 5일(한국시간) 레바논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시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4 브라질 월드컵' 최종예선 A조 6차전 레바논과의 원정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거뒀다.
하마터면 2년 전 '베이루트' 참사가 재현될 뻔했다. 경기 초반에 선제골을 내주며 전·후반 내내 끌려다닌 것도 과거와 비슷했다. 김치우의 후반 추가시간 프리킥 동점골이 나락에 떨어질 뻔했던 한국 대표팀을 구했다.
아쉬운 점이 많은 경기였다. 후반 중반이 지나자 레바논 선수들은 대놓고 그라운드에 눕기 시작했다. 우리에게는 너무나 익숙한 장면. 바로 중동 특유의 비매너 '침대축구'였다. 한국 선수들은 넘어진 레바논 선수들 근처에만 서성일 뿐 특별히 화를 내거나 감정적 대응은 하지 않았다. 이는 분명, 적절한 대처였다.
그러나 그 이전에 선제골을 내주며 어려운 경기 상황을 자초한 점이 다소 아쉬웠다. 결국 다급해진 최강희 감독은 후반 초반부터 장신 공격수 김신욱을 교체 투입했다. 공중을 향해 롱패스를 시도한 뒤 떨어진 공을 노리는 단조로운 전술로의 복귀였다.
중원을 세밀하게 거쳐 가며 작품을 만들어가는 모습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지난 3월 홈에서 열린 카타르전에서 모습과 비슷했다. 당시에도 한국은 1-1 무승부가 되자 뻥축구 전술로 일관하며 팬들의 빈축을 샀다.
이날 경기에서는 풀백들의 공격 가담도 거의 눈에 띄지 않았다. 최강희호 출범 이후 확고한 주전 풀백이 없다는 점도 큰 문제다. 현재까지 치른 월드컵 최종예선 6경기에서 같은 조합으로 풀백이 투입된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그동안 박주호를 비롯해 최효진, 오범석, 박원재, 고요한, 김영권, 김창수, 윤석영, 최재수, 박원재 등이 이 자리를 거쳐 갔지만 모두 주전 자리를 꿰차는데 실패했다. 이날도 김치우와 신광훈 조합을 가동했지만 날카로운 모습을 보여주진 못했다. 이근호와 이청용 등 측면 공격수와의 호흡도 원활하지 못했고, 오히려 후반 막판에는 레바논 선수들의 역습을 저지하느라 바빴다.
한국은 오는 11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우즈베키스탄을 홈으로 불러들여 최종예선 7차전을 치른다. 3승2무1패(승점 11,+6)의 한국은 우즈베키스탄(승점 11, +2)과 승점은 같으나 골득실에서 앞서며 조 1위를 달리고 있다.
같은 날 카타르를 1-0으로 꺾은 이란이 3승1무2패(승점10)를 기록하며 바싹 추격해오고 있다. 한국으로서는 반드시 우즈베키스탄전에서 반드시 승점 3점을 노려야 한다. 그리고 승리를 위해서는 한국 특유의 강력한 측면 공격이 살아나야 한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