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단에서 공문 쪽으로 돌려서 (제출하면) 저희가 패널 회의를 하고, 공문을 구단에 드려서 순화시키는 방법이 좋다."
문진희 대한축구협회 심판위원장은 최근 한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이렇게 말했다. 감독들이 기자회견 등을 통해 심판을 비판하지 못하는 규정이 재검토될 여지가 없는지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과정이었다. 문 위원장은 "감독님들의 입을 막자는 얘기는 아니다"라면서도 "언론에 노출이 되면 해당 심판이 다음 경기에 들어왔을 때 피로감, 팬들로부터 오는 스트레스가 있다. 어느 심판도 양성할 수가 없다"고 덧붙였다.
결국 판정 논란이 생길 경우, 구단과 축구협회가 판정과 관련해 공문을 주고받는 소통 방식이 더 적절하다는 것이다. '순화시킨다'는 표현은 결국 구단들과 '조용히' 소통하겠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문 위원장의 이같은 설명은 K리그 구단이 판정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공문을 축구협회에 보내면, 협회 심판위원회 패널 회의를 거쳐 결과를 회신하는 프로세스가 이미 구축된 것처럼 이해될 수밖에 없는 설명이기도 했다.
복수의 K리그 구단 관계자들은 그러나 "공문을 통해 판정 관련 이의를 제기했을 때, 축구협회로부터 회신을 받은 적은 없다"며 입을 모으고 있다. 최근 심각한 오심 피해를 입은 구단뿐만이 아니다. K리그1·K리그2를 막론하고 여러 구단 관계자는 "협회에 공문을 보내고도 정심·오심 여부나 판정 배경 설명 등은 언론 보도를 통해 접한다"고 했다. 문진희 위원장은 축구협회와 구단이 이미 공문을 통해 판정 관련 소통이 이뤄지고 있는 것처럼 설명했으나, 정작 현장이 느끼는 반응은 '불통'인 셈이다.
A구단 관계자는 "엄연히 단체 대 단체로 정식 공문을 발송했을 때, 이에 대해 회신하는 건 기본적인 예의 문제"라며 "판정과 관련해 공문을 보냈을 때 회신을 받은 적은 한 번도 없다. K리그 구단들을 보는 협회의 인식이 딱 그 정도"라고 꼬집었다. B구단 관계자 역시 "방송을 봤을 때 의아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패널 회의를 거쳐 회신하는 절차를 얘기했는데, 정작 구단은 판정에 대한 결과를 언론 보도가 나와야만 알 수 있다"고 했다. "공문을 보내도 사실상 의미가 없으니, 이제는 이의를 제기할 생각도 하지 않는다"며 한숨을 내쉰 C구단 관계자도 있다.


가장 최근 대한축구협회 심판위원회가 직접 '오심'으로 결론 내린 전남 드래곤즈 역시 마찬가지다. 전남 구단은 천안시티전 이후 내부 보고를 거쳐 축구협회에 공문을 보내 판정 관련 이의를 정식으로 제기했다. 명백한 온사이드를 오프사이드로 선언해 득점을 취소시킨 장면만이 아니었다. 이날 팔꿈치에 얼굴을 가격당해 결국 부상 교체까지 당했는데도 상대가 퇴장이 아닌 경고에 그친 판정, 추가시간 상당 시간이 비디오 판독과 온 필드 리뷰 등에 소요됐는데도 납득할 만한 추가시간이 더 주어지지 않은 결정 등까지 담아 공문을 보냈다.
그러나 전남 구단은 정작 축구협회로부터 관련 공문에 대한 아무런 회신을 받지 못했다. 축구협회 심판위원회는 지난 13일 패널 회의를 모두 마친 뒤에도 전남 구단에 회의 결과를 알리지 않았다. 전남 구단은 회의 당일 오후 늦게, 그리고 이튿날 오전까지 회신을 기다렸으나 묵묵부답이었다. 축구협회는 이날 미디어를 통해서야 오심 결론과 함께 '기술적 문제'를 탓으로 돌렸는데, 전남 구단은 언론 보도를 통해 이 사실을 접했다. 논란이 됐던 오프사이드 판정 외에 전남 구단이 공문에 담았던 다른 판정 논란들도 당연히 설명도 받지 못했다.
비단 전남 구단만의 사례는 아니다. 이미 판정 논란으로 이의 제기 공문을 보냈던 구단들도 하나같이 축구협회로부터 공문을 회신한 적은 없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논란의 판정에 대한 정심·오심 여부조차 회의가 끝난 뒤 축구계에 도는 이야기나 언론 보도를 통해서야 접할 수 있다는 게 공통된 주장이다. 그나마 문진희 위원장이 구단 고위관계자나 감독과 직접 통화해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고는 하나 극히 일부 사례인 데다, 이를 정식 소통 절차로 볼 수는 없다.
축구협회의 이같은 판정 관련 불통은 자연스레 구단들의 '판정 불신'만 더 키우고 있다. 각 구단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판정들의 정심·오심 여부나 오심 배경 등에 대한 설명만을 원하는데도, 축구협회는 불통으로 일관하고 있는 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명백한 오심인데도 해명이나 사과는 없고, 되려 오심을 저지른 심판이 곧바로 다음 경기에 투입되는 사례가 반복되니 판정 불신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심판들을) 존중하고 지켜봐 주셨으면 한다"는 문진희 심판위원장의 바람에 비판적인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한 K리그1 구단 관계자는 "어차피 결과를 바꿀 수는 없다. 경기 중 오심이 나올 수 있다는 것 또한 이해한다. 대신 억울한 판정이 나왔을 때 오심 가능성은 없는지, 오심이라면 왜 그런 판정이 나왔는지 정도만이라도 알고 싶은 것"이라며 "오심으로 결론이 나와도 해명은 없고, 결국에는 제 식구 감싸기에 급급하다. 판정과 관련해 기본적인 소통도 안 하면서 심판 존중만을 원한다. 판정에 대한 불신만 커질 수밖에 없다"고 한탄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