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축구계 오심 논란 다뤄지나, 문진희 심판위원장 국정감사 증인채택

축구계 오심 논란 다뤄지나, 문진희 심판위원장 국정감사 증인채택

발행 :

김명석 기자
문진희 대한축구협회 심판위원장. /사진=대한축구협회 제공

문진희 대한축구협회 심판위원장이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됐다. 최근 끊이지 않는 K리그 오심 논란 등과 관련해 질의를 받을 전망이다.


8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문체위)에 따르면 문진희 위원장은 오는 27일 대한체육회 등 7개 기관 등에 대한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됐다.


문체위는 앞서 지난달 24일 회의에서 문진희 위원장 등 증인 16명과 참고인 7명에 대한 출석을 요구하기로 의결했다. 문 위원장에 대한 증인 신청은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이 요구했다.


다만 국정감사 일반증인 철회 등은 여야 간 합의 또는 불출석 사유서 제출 등을 통해 변동될 수는 있다.


문진희 위원장이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하면 K리그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오심 관련 문제를 비롯해 국내 심판 운영 등과 관련해 질의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K리그 심판 관련 모든 업무는 지난 2020년부터 프로축구연맹에서 대한축구협회로 이관됐고, 문진희 위원장은 그 업무를 맡는 대한축구협회 심판위원회 수장 역할을 맡고 있다. K리그뿐만 아니라 국내 모든 심판 관련 업무는 대한축구협회의 몫이다.


다만 올 시즌 K리그에서는 심각한 오심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구단과 팬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시즌 내내 오심 논란이 끊이지 않는 터라 판정에 대한 불신은 그야말로 극에 달한 상태다.


3일 제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제주 SK와 전북 현대의 하나은행 K리그1 2025 32라운드 후반 39분, 전북 현대 전진우가 페널티 박스 안에서 제주 수비수 장민규에게 발목이 걸린 순간. 이동준 주심은 그러나 페널티킥을 선언하지 않았고, 페널티킥 여부에 대한 온 필드 리뷰조차 진행되지 않았다. /사진=중계화면 캡처
대한축구협회가 15일 VAR ON 콘텐츠를 통해 공개한 지난 10일 전남 드래곤즈-천안시티전 당시 비디오 판독(VAR) 화면. 당시 VAR에서는 빨간색과 파란색으로 그려진 선을 토대로 오프사이드로 판정했는데, 결과적으로 기술적인 문제로 인한 오심으로 결론이 났다. 노란색 2개의 선은 잔디를 따라 그려넣은 가상선. /사진=대한축구협회 VAR ON 캡처

당장 최근엔 제주 SK와 전북 현대전을 진행한 이동준 주심은 전진우(전북)가 상대 수비수에 걸려 넘어졌는데도 페널티킥을 선언하지 않아 논란의 중심에 섰다.


심지어 주심이 명백한 실수를 저질렀을 때 이를 바로잡기 위해 도입된 비디오 판독 심판(VAR) 시스템이 있는데도 페널티킥 판정이 나오지 않아 논란은 더욱 커졌다.


또 앞서 지난 8월 전남 드래곤즈와 천안시티전에서는 명백한 온사이드 상황인데도 5분 넘는 VAR 판독을 거쳐 결국 오프사이드에 따른 득점 취소를 결정하고, 뒤늦게 '기술 문제 탓'으로 돌려 공분을 사기도 했다.


이날 문진희 위원장은 끊이지 않는 K리그 오심 논란 등뿐만 아니라 국내 심판 운영 전반에 걸쳐서도 관련 질의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대한축구협회는 지난해에도 정몽규 회장이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 홍명보 감독과 위르겐 클린스만 전 감독 선임 절차 등과 관련해 거센 질타를 받은 바 있다.


지난 7월 KBS 스포츠 유튜브 채널 'HOT다리영표:전술의재발견'에 출연한 문진희 심판위원장. /사진=KBS 유튜브 채널 캡처

추천 기사

스포츠-축구의 인기 급상승 뉴스

스포츠-축구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