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O 리그 창설 후 최초의 시민구단 창단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여러 과제들이 산적한 가운데, 울산광역시와 한국야구위원회(KBO)는 어떤 청사진을 세우고 있을까.
KBO와 울산시는 5일 오후 1시 30분 울산광역시청 2층 대회의실에서 KBO 퓨처스리그 울산프로야구단 창단 업무협약식을 가졌다. 이날 협약식에는 허구연 총재와 박근찬 사무총장을 비롯한 KBO 관계자, 그리고 김두겸 시장과 안승대 행정부시장 등 울산광역시 관계자, 김철욱 울산시체육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협약을 통해 울산시와 체육회, KBO는 공동 협력을 통해 2026시즌 KBO 퓨처스리그 참가를 목표로 울산프로야구단을 창단하기로 했다. 울산시는 구단 창설 후 지속적·안정적 운영을 위해 행정적·재정적으로 적극 추진·지원하고, KBO는 전력 강화를 위해 단장·코칭스태프 구성, 선수 선발 등에 참여한다.
허구연 총재는 "지방정부가 프로야구에 참가하는 건 역사적인 일이다. 독립리그 팀도 있지만 제도권 진입하는 팀이라는 점 강조하고 싶다"고 했다. 이어 "단순히 야구단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일자리 창출, 경기 활성화, 시민 스포츠 문화 향유 등으로 확대될 걸로 기대한다. 퓨처스리그 경쟁력 강화, 균형 발전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두겸 시장도 "그동안 울산은 산업에만 매진해왔는데, 투 트랙 정책을 통해 체육, 문화, 관광 등 굴뚝 없는 산업도 하려고 한다. 야구를 (울산의) 새로운 스포츠로 열어가야겠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그동안 지방자치단체의 이름을 달고 창단한 구단은 몇몇 있었다. 지금까지는 독립리그 소속으로 선수들이 회비를 내면서 뛰는 모습으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이번에는 최초로 KBO 퓨처스리그 소속으로, 몸값을 받고 선수들이 뛰게 된다.
기존 구단들이 비록 2군이지만 이미 선수들을 잘 갖춰놓은 상황에서, 내년 퓨처스리그 개막까지 5개월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이들과 맞먹을 전력을 구성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해 허 총재는 오히려 "울산 구단이 너무 잘해서 충격받을까봐 걱정"이라고 말했다. 왜 이런 말을 했을까.
답은 '외국인 선수'에 있다. 허 총재는 "구단들과 협의해야겠지만 외국인 선수 4명 이상 생각하고 있다"며 "울산시민구단이 4명의 외국인 선수가 있다고 하면 도리어 다른 팀이 밀릴 수도 있다. 전력 면에서는 큰 걱정 안해도 되는 것 아닌가"라고 했다. 여기에 기존 구단에서 방출된 인원 중 선수생활을 이어가고 싶어하는 이들을 데려온다면 충분히 전력을 구축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김두겸 시장은 "내년에 바로 참여하려면 선수, 감독, 코치 구성을 해야 한다. 이 부분은 KBO에 전적으로 위임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창단하면 뭔가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시민 여론 가져오려면 전력 강화 있어야 한다"며 "숙제는 있겠지만 총재님이 조율 중이라 기대하고 기다리고 있다"고 얘기했다.
또한 일정 조율 문제도 있다. 문수야구장은 현재 1군 구단이 쓰고 있지는 않지만, 롯데 자이언츠가 제2구장으로 사용 중이다. 자칫 겹칠 수도 있지만, 이 또한 문제가 없다는 게 KBO 입장이다. 허 총재는 "경기 일정은 KBO에서 1군과 퓨처스리그를 다 짠다. 일정에 맞춰서 짜기 때문에 중복 문제는 전혀 없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