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프로축구연맹 상벌위원회가 또다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이번엔 인종차별 의혹으로 회부된 전북 현대 타노스 코치를 향해 '중징계'를 내리면서 후폭풍이 불고 있다. 당사자는 줄곧 인종차별 의도를 부인했고, 인종차별 제스처가 맞는지에 대한 의견도 분분한데 연맹 상벌위는 인종차별적 언동으로 결론을 내렸다. 징계 수위는 출장 정지 5경기, 제재금은 무려 2000만원에 달한다.
앞서 연맹 상벌위는 지난 19일 "인종차별로 인한 모욕적 감정을 느끼게 하기에 충분했다"며 타노스 코치에게 이같은 징계를 결정했다. 타노스 코치는 지난 8일 대전하나시티즌 경기 막판 심판 판정에 항의하다 두 눈에 양 검지를 대는 동작을 했고, 김우성 주심이 이를 인종차별을 의미하는 행위로 받아들이면서 결국 연맹 상벌위에 회부됐다. 이 과정에서 한국프로축구심판협의회가 타노스 코치의 행위를 인종차별로 빠르게 단정 짓고 연맹과 대한축구협회에 징계를 요구하는 이례적인 성명서를 내면서 논란이 더 커졌다.
연맹 상벌위는 타노스 코치가 검지를 가장자리로 당기면서 눈을 얇게 뜨는 모습을 보인 점, 이 행동 전후로 욕설과 함께 인종차별주의자를 의미하는 스페인어(Racista)를 반복적으로 쓴 정황 등을 고려해 징계를 내렸다고 설명했다. 다만 정지된 화면에선 오해의 소지가 있는 제스처일 수 있으나 실제 영상에서는 워낙 빠르게 지나간 동작인 데다, 스스로 '인종차별주의자'를 반복적으로 외쳤기에 인종차별이 맞다고 판단했다는 다소 황당한 설명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어 납득이 어렵다는 반응이 적지 않다.

타노스 코치가 일관적으로 '인종차별 의도는 없었다'고 해명한 것과는 무관하게, 인종차별을 당했다는 김우성 심판의 주장만 사실상 일방적으로 받아들여진 것도 마찬가지로 비판 대상이 되고 있다. 상벌위는 "특정 행위에 대한 평가는 행위자가 주장하는 의도보다는 외부에 표출된 행위가 보편적으로 갖는 의미를 기준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상대가 경멸적·모욕적 감정을 느꼈다면 행위자의 의도는 부차적인 고려 요소라는 것이다.
명백한 인종차별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없는데도 징계 수위가 지나치다는 지적도 나온다. 상벌 규정상 인종차별적 언동을 한 감독 등 코칭스태프는 10경기 이상의 출장정지, 1000만원 이상의 제재금을 부과토록 돼 있다. 타노스 코치에게 부과된 제재금은 하한액의 두 배나 부과됐다. 감독 및 코칭스태프가 2000만원 이상의 제재금을 받을 수 있는 다른 징계 유형은 '심판을 폭행해 부상을 입게 했을 경우'다. 이는 2000만원 이상의 제재금뿐만 아니라 제명 또는 3년 이상의 출장정지도 부과할 수 있는 수준의 징계인데, 상벌위는 타노스 코치에게 이 정도 수위의 제재금 징계를 줬다.
가뜩이나 오심 논란 탓에 K리그 전체의 불신을 받는 심판진 요구가 고스란히 반영된 징계 결과라는 점에서 비판 여론은 더욱 거셀 수밖에 없다. 프로축구심판협의회는 타노스 코치의 언동을 '인종차별 행위 및 비하 발언'으로 단정 짓고 징계를 요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결과적으로 심판협의회의 요구를 연맹 상벌위가 고스란히 수용한 셈이 됐다. 전북 구단과 팬들뿐만 아니라 K리그 전체에서 이번 사태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하다.

더 큰 문제는 연맹 상벌위의 판단과 징계 수위 등이 축구계 공감을 전혀 받지 못하는 사례들이 끊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이번 사례처럼 애매한 사안에 오히려 중징계가 나온다거나, 중징계가 예상되는 심각한 사안에는 정작 솜방망이 징계에 그치는 등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결정들이 나오고 있다는 뜻이다. 대중의 상식과 거리가 먼 연맹 상벌위의 판단들은 또 다른 논란들로 불거졌고, 나아가 상벌위에 대한 불신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당장 올해만 하더라도 연맹 상벌위는 재정 건전화 규정을 준수하지 못한 광주FC 구단에 제재금 1000만원, 그리고 선수 영입 금지 1년에 집행유예 3년 징계만 내려 논란이 됐다. 2년 연속 재정 건전화 규정을 위반한 데다 재무개선안도 준수하지 않았고, 재정 건전화 규정 위반으로는 처음 상벌위에 회부된 사례여서 중징계 목소리가 컸던 사안이었다. 재정 건전화 규정 위반은 승점 삭감이나 강등까지도 가능할 정도로 중대한 사안인데, 정작 연맹 상벌위가 솜방망이 처벌을 내리면서 그간 철저하게 규정을 지켜온 다른 구단들을 바보로 만들었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반대로 지난 7월엔 인천 외국인 코치에게 손가락 욕설을 해 논란이 됐던 김포FC 박동진은 출장 정지 등 징계 없이 250만원의 제재금 징계만 받아 논란이 됐다. 외국인 코치를 향해 직접적인 손가락 욕설을 했는데도 사실상 솜방망이 처벌에 그쳤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서포터스가 상대 선수를 비방하는 걸개를 걸고 구호를 외쳤다는 이유로 부천FC 구단에 300만원 제재금 징계를 내렸을 땐 "연맹이 팬의 입을 막은 것이나 다름없다"는 비판 목소리가 나왔다.
이밖에 지난해 이기제(수원 삼성)는 부심을 향해 욕설을 하지 않았다고 거듭 주장했는데도, 경기 후 눈물을 쏟은 부심의 주장에 따라 결국 150만원의 제재금 징계를 받았다. 인천 유나이티드의 이른바 물병 투척 사태 땐 "관중을 자극하는 행동을 했다"며 백종범(FC서울)에게 700만원의 제재금 징계를 내리기도 했다. 당시엔 규정상 상벌위 출석 의무가 없는데도 백종범의 상벌위 불출석을 두고 "백종범이"로 지칭하거나 "연맹 디그니티를 무시하는 것", "정신을 못 차린다. 구단이 나서서 이런 짓을 한다"는 등 조남돈 상벌위원장의 발언이 공개돼 논란이 더 들끓었다.

이미 그전에도 연맹 상벌위 징계가 오히려 더 큰 논란으로 이어진 사례가 많았던 데다 매년 반복되고 있는 만큼, 이제는 연맹 상벌위 자체에 대한 쇄신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연맹 정관과 상벌 규정 등에 따르면 상벌위원장은 변호사 자격을 가지고 10년 이상 법률 사무에 종사한 경력이 있는 자 중에서 연맹 총재가 이사회의 동의를 받아 위촉한다. 조남돈 상벌위원장은 K리그1·2 명칭이 각각 K리그 클래식·챌린지였던 시절, 상주 상무와 안산 경찰청, 고양 Hi FC, 충주 험멜 구단이 K리그에 속해 있던 지난 2014년부터 무려 12년 가까이 상벌위원장직을 맡고 있다.
상벌위 결정이 나올 때마다 징계 결정이나 수위를 두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건, 결국 상벌위의 공정성과 신뢰도에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더 큰 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 명확한 규정에 근거하지만 결국 주관적인 판단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현 위원장의 오랜 경험과 경력이 자칫 불필요한 오해로 이어질 수 있다. 상벌위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들이다.
한 K리그 구단 관계자는 사견을 전제로 "제3자로서 타노스 코치가 애초에 오해받을 만한 행동을 하면 안 됐다고 보지만, 제재금이 2000만원이나 되는 건 코치 연봉 수준 등을 고려할 때 너무 과하지 않았나 싶다"면서 "사안마다 어떤 건 과도하고, 또 어떤 건 솜방망이 처벌에 그치다 보니 연맹 상벌위에 대한 신뢰는 가지 않는다. 그렇다고 앞으로 크게 바뀔 것 같지도 않다. 상벌위가 내리는 징계와 관련된 논란들이 계속된다면, 결국엔 변화가 필요할 수도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